logo
“러브버그 대량 출몰에 방제 총력”…기후변화로 곤충 관리 새 과제
사회

“러브버그 대량 출몰에 방제 총력”…기후변화로 곤충 관리 새 과제

강예은 기자
입력

인천 계양산 일대에서 러브버그가 집단 출몰하며 7월 4일 새벽부터 환경부와 지자체가 긴급 방제 작업에 돌입했다. 환경부는 곤충 대량 발생 현장의 위기 대응을 위해 24시간 대책반을 가동하고, 소속기관 직원과 계양구 방제인력 등 50여 명을 현장에 투입했다. 송풍기, 포충망, 살수 및 광원 포집장비 등 다양한 장비가 동원됐으며, 주변에서는 사체 수거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환경부 관계자는 “올해 곤충 대발생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며 “기후변화로 유사 사례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 예산과 인력 지원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전문가 자문단, 실시간 감시, 향후 깔따구·미국선녀벌레 등 외래종까지 밀착 관리하는 계획을 내놨다. 서울시 또한 친환경적 방제법과 생활수칙 홍보, 민원 대응에 착수했고, 6월 기준 러브버그 관련 민원만 4,695건에 달했다.

러브버그 / 연합뉴스
러브버그 / 연합뉴스

러브버그 방제 사안은 제도의 한계와 법적 미비를 드러냈다. 당초 익충이었던 곤충조차 대량 출현하면 일상생활에 불편과 방역 부담을 주지만,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방제에 나설 명확한 법적 근거가 부족했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감염병 관련 법 개정안이 발의돼, 대량 곤충 출현 시 지방정부가 신속하게 방제할 수 있도록 제도정비가 추진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기후변화, 생태계 불확실성, 외래종 확산의 복합 결과로 해석한다. 러브버그는 2015년 국내 첫 확인 후 2022년부터 6~7월 수도권에서 반복 대량 발생해왔다. 환경부도 인공지능 기반 예측·방제 연구, 법정 관리종 지정, 중장기 제도 보완 등 다각적 관리 체계 필요성을 인정했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생활환경 불편을 넘어 외래종 및 기후위기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관계기관과 시민단체, 전문가가 모두 참여하는 다층적 협력·감시체계의 필요성도 커졌다. 환경부 대책반은 향후 신규 발생 정보 수집, 실시간 현장 대응, 기술 적용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 인천 계양산 러브버그 사태는 관의 신속 출동과 복합적 방제 노력이 실제화된 첫 사례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 대발생이 반복될 경우, 법·제도 개선과 AI 등 첨단 시스템, 시민 참여형 관리가 동반 발전할지 주목되고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지역 사회의 생활불편 해소와 장기적 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 현장 조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러브버그#환경부#인천계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