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생산·소비·투자 모두 늘었다”…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쏠리는 시선
사회

“생산·소비·투자 모두 늘었다”…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쏠리는 시선

윤가은 기자
입력

최근 7월 기준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일제히 증가하며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내수 진작 효과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7월 전산업생산 지수(114.4)가 전달보다 0.3% 올랐고, 소매판매액 지수는 2.5% 증가해 29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설비투자도 7.9% 늘며 5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이번 트리플 증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 내수 활성화 정책과 소비 심리 회복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광공업 생산, 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 및 투자지표 모두 오름세를 기록했다. 내구재(5.4%), 비내구재(1.1%), 준내구재(2.7%) 판매가 모두 증가했다. 정부는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검토 사실이 없다”고 밝혔으나, 생산·소비·투자 증가는 향후 내수 진작 확대에 기대감을 불러오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 연합뉴스

올해 10월 3일 개천절부터 한글날인 9일까지 이미 7일 연휴가 확정된 가운데, 10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11일과 12일 주말까지 최대 10일간의 연휴가 가능하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3조에 따라 국무회의 의결 및 대통령 재가를 거쳐 확정된다. 통상 발표 시점은 최소 2주 전이기 때문에 정부가 이달 26일까지 결정을 공식화하면 실현이 가능하다.

 

그간 정부는 임시공휴일 지정에 내수 진작 효과 미비를 이유로 소극적이었으나,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이달 중 추가 지급되는 등 소비 활성화 대책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과 경제적 효과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는 정부의 최종 정책 방향과 국무회의 결정에 달려 있다. 전문가들은 “소비 진작책이 경기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다각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와 유통업계 역시 황금연휴 효과에 기대감을 표하면서도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당분간 정부의 공식 입장 발표와 내수 촉진책의 후속 조치가 주목된다. 임시공휴일 지정 논의가 국민 생활과 경기 회복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사회적 논의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윤가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임시공휴일#민생회복소비쿠폰#산업활동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