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파·레이저로 정맥류 치료”…NECA, 비침습 시술 안전성 확인
고주파 및 레이저 기반 정맥 내 폐쇄술이 하지정맥류 치료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이 4일 발표한 의료기술재평가에 따르면, 하지정맥류 환자에게 시행된 고주파정맥내막폐쇄술과 레이저정맥폐쇄술 모두 안전성과 치료 효과에서 다각도의 근거를 확보했다. 이번 평가는 하지정맥류 분야의 치료법 혁신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분석이 확산되고 있다.
NECA 의료기술재평가는 총 59개 임상 연구를 바탕으로 두 시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토했다. 하지정맥류는 다리 표재정맥의 판막 기능이 손상돼 혈류 역류 및 혈관 확장이 발생하는 대표적 혈관질환으로, 2023년 기준 국내 환자는 40만 명에 육박한다. 과거에는 발거술(스트리핑) 등 외과적 수술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엔 비침습적 고주파 및 레이저 정맥 내 폐쇄술이 신치료로 부상하고 있다.

고주파정맥내막폐쇄술은 전극을 삽입해 고주파 열로 정맥 내벽을 조직 섬유화시켜 폐쇄하고, 레이저정맥폐쇄술은 특수 레이저 에너지를 투여해 혈관을 막는 방식이다. 두 방법 모두 정맥폐쇄 성공률이 81.3%에서 100% 사이로 기존 치료법과 동등하거나 일부에서는 우수했고, 입원·회복 기간이 짧으며, 주요 합병증 발생 빈도도 낮았다. 특히 해당 시술을 받은 환자 중 상당수가 ‘수술 전보다 증상이 개선됐다’고 답변했으며, 환자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았다.
특히 이번 기술은 외과적 절개 없이 최소 침습으로 정맥류를 치료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해외에서는 이미 다수의 가이드라인에서 비수술적 폐쇄술을 우선 권고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시술 건수가 꾸준히 확대 중이다. 반면, 각 시술 이후 환자 교육 및 통증 관리 등 회복기 안내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규제 차원에서는 국내외 의료기기 인증 및 시술 적응증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국 FDA와 유럽 CE 인증을 받은 기기가 국내에도 도입됐으며, 건강보험급여 기준도 지속적으로 보완되는 흐름이다. NECA는 복재정맥 역류가 확인된 환자라면 두 시술 모두 권장 가능하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업계에서는 “정맥 내 고주파·레이저 시술이 하지정맥류 치료의 혁신적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도 실효성·안전성 근거가 충분히 입증된 만큼, 정맥류 치료 패러다임이 빠르게 재편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