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입서 중국 비중 12%로 하락”…미·중 디커플링 가속, 공급망 재편 여파
현지시각 13일, 미국(USA)에서 발표된 공식 무역 통계에 따르면 미국의 전체 수입에서 중국산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근 12%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3년 이후 최저치로,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를 도입한 이후 가속된 공급망 분산 정책의 결과로 해석된다. 미국과 중국(China) 간 경제 관계 재편은 양국뿐 아니라 글로벌 무역 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 인구조사국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근 12개월 이동 평균 기준 중국산 수입 비중은 2018년 22%에서 10%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도 4,180억 달러에서 2,800억 달러로 1,380억 달러 축소됐다. 스마트폰, 장난감, 가구 등 주요 소비재 분야에서 중국산 수입의 감소 폭이 특히 컸다.

이런 변화는 2018년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이후 본격화됐다. 당시 미국은 대규모 중국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매겼고, 이후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미·중 통상 긴장은 최고조에 달했다. 최근에도 미국과 중국의 관세 협상 기한이 90일 연장됐으나, 명확한 합의안은 도출되지 않은 상황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협상 결렬 시 추가 관세 강화 입장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산 수입 감소가 소비 위축으로 직결된 것은 아니다. 생산지 다변화로 베트남(Vietnam), 인도네시아, 인도 등 아시아 신흥국에서의 미국 수입이 동시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국가는 글로벌 제조업 공급망 내 비중을 꾸준히 높이며 새로운 중간 생산지로 부상 중이다. 다만 베트남 등 제3국을 경유한 환적 사례가 늘어 무역 통계상 중국산 비중이 실제보다 더 적게 잡힐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미국 정부는 베트남을 통한 환적 상품에 최대 4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단속을 강화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베트남산 일반 품목의 관세율은 20% 수준이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메리 E. 러블리 연구원은 “미국이 환적 단속을 대폭 강화하고 있지만, 적발 대상과 범위가 여전히 불명확하다”고 말했다. 품목별로는 스마트폰, 장난감, 가구 등에서 중국산 감소세가 뚜렷한 반면, 가전제품 및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선 오히려 중국산 수입이 늘었다는 점도 주목된다.
현지 언론은 중국과의 거래 축소와 신흥국 비중 증대를 일종의 ‘디커플링’으로 평가한다. 뉴욕타임스(NYT)는 “미국이 세계 제조 허브로서 중국의 영향력 억제를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베트남 등 아시아 신흥국이 반사이익을 누린다는 분석도 잇따른다.
향후 미국의 무역 구조는 관세 정책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방향에 따라 계속 변화할 전망이다. 일부 전문가는 “미·중 무역 갈등은 단기간 내 해소되기 어려우며, 미국 기업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사회와 글로벌 시장은 양국의 통상 협상 동향 및 신흥 제조국의 부상에 예의주시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