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선은 가만히 있으라 발언 파문”…범여권, 나경원 징계안 제출하며 국회 격돌
국회 윤리 논란을 둘러싼 정치권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범여권과 국민의힘이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각각 징계안과 윤리특위에 제소하며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 나경원 의원의 “초선은 가만히 있으라”는 발언을 두고 양측의 공방이 더욱 열기를 더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은 9월 4일 국회에 나경원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공식 제출했다. 이들 범여권 의원들은 “입법기관이자 국민의 대표로서 품위유지 의무를 져버렸다”며 나 의원의 상임위원회 내 언행을 문제삼았다.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은 “국민을 대표해서 헌법과 절차에 따라 역할을 해야 함에도 나 의원이 초선 의원에 망언과 폭언을 퍼부었으며, 이는 명백한 품위유지 의무 위반”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은 이 같은 범여권의 공세에 즉각 반발했다. 최은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민주당이 나 의원 발언을 문제 삼아 윤리위에 제소한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히려 윤리위 제소의 대상은 야당의 정당한 발언권을 묵살하고 국회법을 위반한 추미애 위원장”이라고 맞섰다. 국민의힘은 추 위원장이 야당 간사 선임안 상정 거부와 같은 국회 운영 절차를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논란의 중심이 된 사건은 지난 9월 2일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불거졌다. 추미애 위원장이 야당 간사 선임안 상정을 거부하자, 나경원 의원은 항의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초선 의원에게 “초선은 가만히 있으라”며 직접적인 발언을 했고, 이로 인해 여야 간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정치권에서는 여야가 상대 진영 인사를 윤리 기구에 동시에 제소하는 상황이 '정치 보복'의 전형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국회 안팎에서는 “정쟁이 본분인 국회의원 품위 논란으로 번지며 정치 신뢰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는 우려도 들린다. 9월 정기국회를 앞두고 각 진영의 기 싸움이 더욱 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국회는 나경원 의원 발언과 추미애 위원장의 윤리적 책임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정가에서는 징계안 처리 향방에 따라 9월 국회 정국의 주도권이 양 진영 중 어느 쪽으로 넘어갈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