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 선진국 도약”…이재명 대통령, 독립유공자 후손에 예우와 지원 확대 약속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을 대우하는 방식이 정치권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이 독립유공자 후손들과 청와대에서 함께한 자리에서 예우 강화와 실질적 지원 확대를 약속하며 보훈 정책 전환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오전 11시 30분 청와대 영빈관에서 독립유공자 후손 등 80여 명을 초청해 ‘광복 80주년 대통령의 초대’ 행사를 개최했다. 이 대통령은 “보훈 선진국으로 대한민국이 도약할 수 있게 하겠다. ‘독립운동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은 더는 통용될 수 없도록 국가를 위한 희생에는 예우도 높게, 지원은 두텁게 하겠다”고 인사말에서 밝혔다.

아울러 “독립 투쟁의 역사와 정신을 우리 미래 세대가 계승하고 기억하도록 선양 사업을 지속해서 확대해 가겠다”며,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을 한다는 것이 우리의 대원칙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재명 대통령은 해외에서 유해가 봉환돼 국립묘지에 안장된 문양목, 임창모, 김재은, 김덕윤, 김기주, 한응규 선생의 후손들에게 “늦었지만 그토록 염원하셨던 조국에서 편히 영면하시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인사말에 앞서 참석자들에게 90도로 허리를 숙여 직접 인사했다. 좌중에서 박수가 이어지자 “오늘 같은 날은 제가 아니라 여러분이 박수받아야 하는 날”이라며 직접 박수를 보내기도 했다. 현장에는 김좌진 장군의 후손 배우 송일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 이상룡 선생의 후손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 윤봉길 의사의 후손 국민의힘 윤주경 전 의원, 이종찬 광복회장,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등 각계 인사가 자리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 이후에는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서 ‘한국사 신동’으로 주목받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후손 정하랑 군의 프레젠테이션과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합창 공연도 이어졌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의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 원칙 천명에 정치권은 폭넓게 공감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예우에 대한 구체적 지원 확대 방안에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정부는 광복 80주년을 계기로 독립운동의 역사와 정신 선양 사업을 확대하고, 독립유공자 및 후손들에 대한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