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에서 ‘열린 경호’ 구현”…황인권 대통령경호처장, 시민 피해 최소화 방침 밝혀
경호 방식과 시민 생활의 충돌이 다시 한번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대통령경호처가 100일 앞으로 다가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열린 경호’ 원칙을 지키겠다고 나섰다. 경호 강화 필요성과 대민 피해 최소화라는 두 목표 사이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23일 대통령경호처는 언론에 “경주 준비지원단, 관련 공무원, 보문단지 입주업체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경호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열린 경호, 낮은 경호’ 방침을 그대로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방침은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수립돼, 지난해부터 각종 국제행사 현장에서 시범 적용된 바 있다.

또한, 대통령경호처는 9일과 10일에는 ‘주한 외교단 대상 제1차 설명회’에서 ‘열린 경호’ 원칙을 각 회원국 대표들에게 공식 소개했다고 전했다. 안전을 확보하되 불필요한 통제와 과도한 차단을 줄이겠다는 것이 설명회 핵심이었다.
황인권 대통령경호처장은 “각국 대표단이 감동을 느끼고, 시민들이 긍지를 가질 수 있는 행사를 만들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번 경주 정상회의를 통해 ‘K-경호’의 정교함과 대한민국의 안전 역량을 세계에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안전한 대한민국, 세련된 K-경호가 중심이 되는 K-APEC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올해 APEC 정상회의는 10월 31일부터 이틀간 경상북도 경주에서 개최되며, 21개 회원국에서 2만여 명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호와 안전 관리 주체인 경호안전통제단은 경호처를 중심으로 국가정보원, 국방부, 경찰청, 소방청, 해양경찰청이 참여하는 다기관 합동체제로 운영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각국 정상급 인사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가 쉽지 않은 만큼,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열린 경호’가 구현될지 주목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대규모 국제행사의 경우 경호 강화를 이유로 대중 교통 통제와 출입 제한 등 시민 불편이 불가피하다”면서도 “경호처의 방침이 실제로 적용되는 방식이 관건”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행사 준비 단계부터 각계 이해관계자와 긴밀히 소통해온 만큼, 시민 불편 해소와 국제행사 성공이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실무 점검을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