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 달 만에 정상회담”…이재명·이시바, 부산서 한일 셔틀외교 복원

문경원 기자
입력

정치적 긴장 완화와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한일 양국 정상의 만남이 다시 한 번 성사됐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9월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과 만찬을 열고, 셔틀외교 복원과 미래 협력 의제 논의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한 달 전 이재명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대한 화답이자,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이뤄지는 역사적 만남으로 외교적 의미가 더욱 부각된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9일 브리핑을 통해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대한 답방”이라며 “한 달 만에 두 정상의 만남이 다시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일 간 셔틀외교가 복원, 정착됐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어 “양국의 공통된 과제인 인구문제, 지방 활성화 등은 물론 인공지능, 수소에너지 등 미래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까지 논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또 “격변하는 무역질서 속 유사한 입장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양국의 논의 지평이 확대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회담의 촛점을 부각시켰다. 이번 방문을 맞아 정부는 환영행사와 회담장 준비에 한층 공을 들였다고 덧붙였다. 일본 정상의 지방 방문은 2004년 이후 21년 만으로, 8월 이재명 대통령이 ‘지방에서 다시 만나자’고 제안했던 논의가 실제 외교 승격으로 이어진 셈이다.

 

이시바 총리의 퇴임을 앞둔 이번 회담의 무게도 눈길을 끈다. 10월 4일 일본 자민당 총재 선출과 국회에서 신임 총리가 결정될 예정이지만,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가 퇴임 후에도 한일관계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중진의원으로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임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사 문제 등에서 이시바 총리가 “남다른 소신을 갖고 있다”는 평도 전했다.

 

양국 경제 현안과 관련해 위 실장은 “최근 난항을 겪고 있는 대미 관세 협상이 정식 의제로 오르진 않을 예정”이라면서도 “일본의 경험과 생각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지정학 변화와 무역질서에서 양국 정상이 긴밀히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정권교체, 총리 퇴임 등에 따른 협력 지속성을 두고 우려도 제기됐으나, 위 실장은 “양국이 직면한 인구소멸, 지방 활성화 등은 정권을 넘어서는 의제이기 때문에 정책의 연속성과 지속성이 담보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일 관계는 지난 수년간 다양한 갈등과 협상의 파고를 넘으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셔틀외교 기조가 정착될지,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이 한층 구체화될지 주목된다. 양국 정부는 정상회담 결과를 토대로 인구, 지방 활성화, 미래산업 협력 분야에서 실질적인 정책 진전을 모색할 계획이다.

문경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이시바시게루#한일정상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