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표적기 부품 국산화 본격화”…대한항공, 230억원 방산 사업 수주
국방 부품 국산화 경쟁에 불이 붙었다. 대한항공이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 개발 지원 사업을 수주하며 방위사업청과 본격 협력에 나선다. 한국 해군 훈련 현장에서 해외 구매에 의존해왔던 무인표적기 부품이 자국산으로 전환될지 주목된다.
대한항공은 6일 방위사업청 무기체계 부품 국산화 개발 지원 사업 수주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정부 지원을 포함한 연구개발비는 약 230억원이고, 개발 기간은 2028년 9월까지로 잡혔다.

사업의 핵심은 기존에 수입에 의존하던 아음속 무인표적기 기체, 조종·통제 장비, 발사대 등 중추적 구성품을 국내 기술로 전환하는 것이다. 대한항공은 그간 축적해온 무인기 개발·양산 역량을 활용해, 현재 한국 해군 다목적훈련지원정에서 운용 중인 외산 표적기를 단계적으로 대체할 방침이다.
장기적으로 군의 무인 전력 강화가 목표다. 국산화된 무인표적기는 향후 한국 공군에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라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훈련 지원 무인체계 분야에서 국산화 기반을 마련하는 전환점"이라고 평했다. 이어 "그간 쌓아온 기술력과 양산 역량을 바탕으로 무인기 플랫폼의 국방 자주화와 방산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 안팎에서는 국방기술 자립화와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산화 모델 구축이 점차 본격화되고 있다는 반응이 이어진다. 업계와 전문가는 "수입 대체는 물론 수출 시장 진입 가능성까지 타진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정부와 방위사업청은 해당 사업의 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면서, 성과 도출에 따라 추가 지원과 적용 범위 확대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