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 ‘대일외교는 경제·안보 실용외교’”…이재명 정부, 협력 확대 요구 높아져
한일관계를 둘러싼 대일외교 노선을 놓고 여론이 갈라지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기조에 힘이 실리는 양상이다. 8월 29일부터 30일까지 실시된 전국 여론조사에서 국민 다수는 과거사 문제보다 경제와 안보 중심의 실용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뜻을 나타냈다. 정치권의 대일외교 노선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조사 결과는 정책 방향에 중대한 시사점을 던진다.
여론조사꽃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화면접조사에 따르면, ‘경제·안보 실용외교’라는 응답은 73.2%에 달했다. ‘과거사 문제 우선 해결’을 꼽은 응답은 22.5%로, 격차는 50.7%포인트로 집계됐다. 권역별로는 강원·제주 80.0%, 대구·경북 79.4%, 서울 76.5% 등 모든 지역에서 실용외교 선호가 압도적이었다. 세대별로도 40대 82.6%, 50대 79.8%, 60대 78.2% 기록 등, 전 세대에서 실용외교 응답이 우세를 보였다. 정당 지지층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76.4%, 국민의힘 75.3%, 무당층 61.2% 모두 과반 이상이 실용외교 흐름에 동조했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 72.7%, 중도층 78.2%, 보수층 73.2%가 모두 70% 이상 실용외교를 지지했다.

같은 기간 ARS조사에서도 실용외교 선호가 73.4%로 나타났다. 과거사 우선 해결은 17.5% 그쳤고, 양자 간 격차는 55.9%포인트에 달했다. ARS조사 결과에서도 민주당 지지층은 80.5%, 국민의힘 지지층은 66.0%가, 진보층 77.2%, 중도층 75.5%, 보수층 70.9% 등 이념·정당을 막론한 광범위한 지지가 확인됐다. 남녀, 권역, 세대를 가리지 않고 실용외교가 ‘새로운 대일관계’의 해법이란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여론이 대일외교 접근법 변화에 직접 영향을 줄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실용적 협력 강화 요구가 높아질수록 정부도 경제·안보 협력과 동시에 과거사를 균형있게 다루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야 또한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외교·안보 이슈에 대한 입장 조율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됐다.
여론조사꽃이 밝힌 이번 전화면접조사는 8월 29일부터 3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무선가상번호 활용 CATI 전화면접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2.2%다. ARS조사는 같은 기간 무선 RDD 활용 방식으로 같은 표본수(1,008명)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2.8%를 기록했다.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치권은 대일외교 정책 방향과 관련한 국민여론을 주시하면서 정당별 대응 전략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한일관계 실용외교 추진에 국민 공감대가 반영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정책 조정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