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에도 양극화 심화”…전진숙, 지역의사제 도입 필요성 강조
전공의 인력 분포를 둘러싼 의료계 갈등이 다시금 정치권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광주 북구을)이 전공의 복귀 상황을 진단하며 지역 의사제 도입 등 제도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진숙 의원은 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전공의 복귀와 관련한 지역·진료과목 간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지역의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의대나 공공의료사관학교를 신설해 지역과 필수 공공의료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근본적 해법”이라고 설명했다.

전 의원은 전 정부의 일방적 '의대정원 2천명 증원' 방침 이후 1년 7개월간 이어진 의정 갈등을 언급하면서, “갈등은 새 정부와 환자, 의료계 간 대화로 해소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 필수 과목과 인기 과목 간 충원율 격차는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했다.
전 의원에 따르면, 서울 상위 5대 병원의 전공의 충원율은 70%를 웃돈 반면 비수도권은 50~60% 수준에 머물렀다. 보건복지부가 2025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를 공개한 자료에서도 수도권 수련병원 모집률은 63%, 비수도권은 53.5%에 그쳤다. 필수 의료 과목은 70.1%, 인기 과목의 경우 88.4%의 채용률이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전공의 복귀 이후에도 지역·과목별 인력 불균형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역의사제 도입, 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 공중보건의사 복무기간 단축 등 다각적 대책 모색을 주문했다.
전 의원은 “이러한 현상의 책임은 전 정부에 있다”며 “공보의 복무기간 단축 등 실효성 있는 보완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회는 앞으로 전공의 양극화 문제와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 방안을 놓고 추가 논의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