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논란”…편의점 웃고 대형마트 ‘울상’
전국민에 최대 55만 원을 지급하는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7월 21일 시행을 앞두고, 사용처 논란과 유통업계의 변화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책 주요 수혜처로 편의점과 오프라인 가맹점이 부상하는 가운데, 온라인몰과 대형마트에는 불이익 우려가 제기되며 업계 전반에 실질적 파급효과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이 소비자와 소상공인, 대형 유통업체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하며, 유통 생태계 구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8일 오전 기준, GS리테일·BGF리테일 등 편의점 업계는 소비쿠폰 사용처임을 앞세운 홍보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카드사와의 협업 프로모션도 활발하다. 한편, 이마트와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주요 이커머스 기업들은 “매출 감소와 기존 고객 이탈 우려가 크다”며 우려 입장을 드러냈다. 실제로 2020년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편의점 매출이 급증했던 전례가 있어, 이번에도 비슷한 양상이 펼쳐질지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정책 세부 운영안에 따르면, 편의점·전통시장·동네마트·가맹 빵집과 치킨집·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 오프라인 중심 사용처에 쏠림 현상이 불가피하다. 정부는 국민비서 서비스를 통해 신청과 사용 안내를 강화하며 정보 전달에 집중한다. 반면, 대형마트·백화점·직영 프랜차이즈·온라인몰·배달앱 등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제한된다. 사용처 기준 중 최대 쟁점은 ‘가맹점’ 여부로, 현장에서는 이를 구분하는 안내 스티커 부착 등 분주한 모습이다.
유통 현장에선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매장엔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는 반면, 소비 주도권의 쏠림과 일시적 특수 이후의 소비공백 우려도 제기된다. 한 편의점 관계자는 “쿠폰 소비가 전체 유통 생태계로 파급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으나, 대형 유통업체와 이커머스 업계는 소비 진작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시각이 우세했다.
정부는 이번 소비쿠폰 정책의 근본 목적을 외국인 체류자, 취약계층 등 지원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두고 있다. 사용기간(7월 21일~11월 30일)과 사용처 고지, 혼선 방지 조치 역시 마련됐다.
일부 전문가는 “편의점과 가맹점이 집중적으로 수혜를 보는 구조가 소비 트렌드 마저 단기적으로 바꿀 수 있다”고 진단한다. 업계는 정책 실효성과 장기적 유통구조 변동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향후 본격적인 정책 평가는 실제 지급이 시작되는 7월 21일 이후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 내 소비 패턴, 정책 수혜 범위, 유통 산업 내 명암 변화가 정책 성공 평가의 기준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