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군 장병 50만 드론전사로”…안규백, 드론교육 대폭 강화 추진
정치

“군 장병 50만 드론전사로”…안규백, 드론교육 대폭 강화 추진

조보라 기자
입력

군과 국방부가 드론 전사 양성 사업에 대대적으로 나서며, ‘드론전장’ 대비 역량 강화 움직임이 본격화됐다. 4일 강원도 원주 육군 36사단에서 개최된 ‘소형드론·대드론 실증 전담부대’ 지정식 현장에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50만 드론전사 양성 계획”을 밝혔다. 국내 드론산업 생태계와 군의 전투 실전 능력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구상이 격돌하고 있다.

 

안규백 장관은 이날 공식 행사에서 “50만 드론 전사 양성 노력으로 군의 드론 운용 능력을 강화하고, 장병 개개인이 전역 후에도 관련 산업계에서 활약할 수 있는 밑거름을 만들어야 한다”며 “국내 드론 산업 생태계 구축과 활성화에 군이 선도적인 역할을 해달라”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이를 위해 내년도 국방 예산에 총 205억 원을 책정했다. 190억 원을 투입해 교육훈련용 상용 소형드론 1만1천여 대를 육군 전 상비부대와 교육기관에 도입하고, 분대마다 1대 이상을 보급할 방침이다. 14억 원은 드론 전문교관 양성에 배정됐다. 또한, 주둔지 내 드론교육장을 구축하고 부대 유휴시설을 활용해 드론교육 인프라도 확충하기로 했다.

 

36사단은 ‘드론전사’ 양성 가속화를 위한 실증 전담부대로 지정됐다. 전담부대에선 실전 전투와 유사한 환경에서 상용 드론 운용이 이뤄지며, 장병들은 최신 드론을 직접 다루는 경험을 쌓는다. 이를 토대로 현장 중심의 전술과 교리까지 개발할 방침이다.

 

정치권과 군 안팎에서는 “드론 소부대 중심 미래 전장에 대비한 필수 투자”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국방부는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확대해 군 장병의 드론자격·실무훈련 경험이 자연스러워지도록 제도화할 계획이다.

 

군의 이번 결정을 두고 방위산업계와 전문가들은 “장병 숙련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질 것”이라 전망하며, 민군 협력과 부대 실전 성과에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치권 역시 관련 예산과 입법 지원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50만 드론전사” 사업을 토대로 장병에게 미래 전장 기술 습득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본격적인 군 드론 인프라 확충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추후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범위와 기술 표준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규백#국방부#드론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