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검찰, 깊은 반성 절실”…임은정·정진우·김태훈, 개혁 앞두고 자성 촉구
정치

“검찰, 깊은 반성 절실”…임은정·정진우·김태훈, 개혁 앞두고 자성 촉구

김다영 기자
입력

이재명 정부의 강도 높은 검찰 개혁이 추진되는 가운데, 새로 취임한 검찰 주요 지검장들이 한결같이 지난 과오를 인정하고 “검찰이 변해야 한다”며 자성과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정부의 개혁 드라이브 속에서 검사장들이 내부 개혁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변화에 대한 조직 내 진통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4일 서울중앙지검에서 정진우 지검장은 “개혁 논의의 출발점이 된 검찰권 행사에 대해 솔직하게 되돌아봐야 하며, 국민들의 시각에서 변해야 할 것은 변하고 고쳐야 할 것은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지켜야 할 원칙과 해야 할 일에 대해서는 정확히 설명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한 수사 이력보다 기획 업무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정 지검장은 발언에서도 절제된 어조를 유지하며, 원칙과 미래지향적 변화를 동시에 피력했다.

서울동부지검의 임은정 지검장은 한층 더 직접적으로 “대개의 검찰 구성원이 헌신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표적 수사, 봐주기 수사가 존재했고, 우리는 검찰권 사수를 명분으로 집단행동도 불사했다. 불의 앞에서의 침묵과 방관은 불의 동조”라며 “우리 모두 잘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김학의 전 법무차관 출국금지 사건 등 구체적 사건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시절의 표적 수사 논란까지 언급하며, 내부 자성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했다.

 

남부지검의 김태훈 지검장 또한 “국민에게서 중립, 공정한 기관이라는 신뢰를 잃었다는 지적이 무엇보다 아프다. 신뢰 회복의 첫걸음은 진지한 반성과 성찰”이라고 언급했다. 김 지검장은 “본연의 역할을 다하는 것 외에 신뢰를 되찾는 방법은 없다. 길고 험난하겠지만 이 길을 가야 한다”며 검찰의 본질적 임무와 인권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같은 목소리는 검찰권 남용, 부실 수사 논란 등 비판을 인정하고 조직의 중립성과 미래 방향까지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 정부의 검찰제도 전면 개편 기조에 따라, 이들 검사장들이 내부 구성원 설득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내부에서는 개혁 드라이브에 대한 우려와 반발 기류도 감지된다.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는 검찰청 폐지 및 권한 축소 방침에 조직 전체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정치권은 검사장들의 이 같은 입장 표명을 조직 내 자정 신호로 평가하며, 국회는 검찰 관련 법률 개편 논의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김다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임은정#정진우#김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