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9월 0.5%p 인하해야”…미국 재무장관, 통화 완화 전환 촉구
현지시각 13일, 미국(USA) 재무장관 스콧 베셋(Scott Bessent)이 9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0.5%포인트(p)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근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결과 인플레이션 완화 추세가 확인되면서, 미국 행정부가 보다 공격적 통화 완화정책 시행에 힘을 실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발언은 연준의 금리 방향과 미 행정부의 경제정책 입장 차, 나아가 미국 금융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계속해서 베셋 장관은 동결 기조가 이어진 직전 연준 회의와 달리 이번에는 ‘과감한 완화’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7월 CPI는 전월 대비 0.2% 상승에 그쳤으며,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물가도 0.3% 오르며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베셋은 “이 같은 물가 수치는 연준이 금리 인하로 전환할 만한 충분한 근거”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서비스 가격은 소폭 올랐으나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의 추가 관세에도 불구하고 물가 전반은 안정된 흐름을 이어갔다고 덧붙였다.

이번 베셋 장관의 압박은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둘러싼 미국 내 갈등 구도와 맞닿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까지 단 한 차례의 금리 인하도 없었던 파월 의장(제롬 파월·Jerome Powell)을 공개적으로 비판해 왔으며, 일부 연준 위원들은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끼칠 영향이 충분히 관찰돼야 한다”며 신중론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미 행정부는 추가 성장세 확보와 고용시장 방어를 고려해 신속한 금리 인하 카드를 선호하는 분위기다.
9월 16~17일 예정된 연준 정책회의를 앞두고 인사 교체 전망도 부상하고 있다. 베셋 장관은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이 곧 연준 이사로 인준될 수 있다”며, 파월 의장의 내년 5월 임기 종료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차기 의장 후보를 폭넓게 검토 중임을 언급했다. 그는 “새 의장에게는 강력한 통화정책 신념과 명확한 규제정책 방향, 조직 개혁 역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주요 경제지와 외신은 베셋의 발언을 두고 연준과 미 행정부의 정책 불협화음이 노골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워싱턴포스트는 “연준의 자율성과 정치적 압박 간 미묘한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와 경제 성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어떻게 조율할지 주목하고 있다. 이번 9월 회의가 통화정책의 중대 전환점을 예고하는 만큼, 각국 금융시장과 글로벌 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