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지명 유지, 여당 지도부 의견이 결정적”…우상호, 인사 배경 직접 해명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을 둘러싼 정치권의 긴장이 극대화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진숙 교육부·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중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서만 지명을 철회한 것을 두고,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청문보고서 채택과 국회 절차를 둘러싼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여당과 야당의 계산이 정국에 미묘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20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결정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친 것은 여당 지도부의 의견이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여러 의견을 가감 없이 전달했고, 인사권자가 최종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두 명의 후보 모두에 대해 ‘임명 강행’과 ‘철회’ 여론이 팽팽히 맞섰으나, 강선우 후보자에 한해서는 여당 지도부 입장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강선우 후보자에 결격사유는 없었다”며 해당 상임위원회 의견을 존중한다는 뜻을 밝혀왔다. 19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도 같은 방침이 재확인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진숙 후보자 지명 철회와 관련해서는 “여러 의혹과 해명이 있었으나, 여론의 벽을 넘지 못했다”는 우 수석의 설명이 뒤따랐다. 그는 “본인은 상당히 억울할 수도 있다”며, 자진사퇴 대신 지명 철회 형식을 취한 배경에는 당사자와의 상의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동시에 강선우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 이 대통령과의 개인적 친분이나 국회의원 신분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강 후보자의 임명 절차가 향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발표한 이상 임명이 확정된 것”이라고 일축했다. 현재 여성가족위원장을 야당이 맡고 있어, 여당 단독으로 청문보고서 채택이 어렵기 때문에 조만간 이재명 대통령이 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할 전망이다.
현행법상 대통령은 국회에서 제때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을 경우 10일 이내 기간을 정해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고, 국회가 응하지 않으면 청문보고서 없는 임명도 가능하다. 다만 현재까지 이재명 정부에서는 청문보고서 채택 없는 임명 전례가 없어, 정국의 전환점이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정치권은 앞으로 청문보고서 재송부 절차 및 여야 간 추가 논의에서 또 한 번 갈등이 불거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회는 강선우 후보자 임명을 둘러싸고 본격적인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