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 끝에 영장 집행”…특검,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 마무리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둘러싸고 특검팀과 국민의힘이 팽팽하게 맞섰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을 세 차례 시도한 끝에 사흘 만에 합의에 이르러 영장 집행을 완료했다. 특검이 "비상계엄 논의와 원내대표실 연관성"을 공식 거론하면서 국회 안팎의 긴장이 한층 높아졌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국민의힘과 절차 협의를 거쳐 형사소송법에 따라 원내대표실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했다. 압수 대상 기간과 방식, 자료 제출 절차 등에서 양측이 접점을 찾으면서 집행 기한 하루를 남긴 시점에 극적으로 마무리된 것이다.

특검은 본래 2일 집행을 시도했으나 야당 반발에 막혀 무산됐고, 3일에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복도 농성과 의원총회로 맞서며 특검팀이 빈손으로 철수했다. 국민의힘은 압수수색 대상 범위가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며 "야당 탄압"이라 주장했다.
특검팀은 이후 국민의힘 측과 자료 제출 방식, 기한 등 절차를 협상해 압수수색 절차를 완료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수사팀은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 측 요청에 따라 의원총회 장소를 수차례 옮겨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미 추 전 원내대표 자택, 사무실, 차량 등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으며,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실과 당 사무처 직원의 휴대전화도 대상에 포함됐다.
특검팀은 브리핑에서 "비상계엄 논의가 시작된 작년 3월부터 당시 원내대표가 관련 동향을 인지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2024년 3월 당시 나는 이미 원내대표가 아니었고,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를 다니던 평의원이었다"고 반박했다. 그는 "계엄 논의 인지 가능성을 언급하려면 명확한 증거 제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여야의 대립이 압수수색 현장까지 번지면서 국회 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는 평가다. 야당은 "정치적 탄압"이라며 특별검사팀에 강하게 항의했고, 특검은 "철저한 절차 준수와 실체적 진실 규명"을 내세우고 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수사 확대로 정국 경색이 장기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국회는 압수수색을 둘러싼 갈등과 수사 확대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며, 특검은 추가 자료 분석과 관련자 조사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