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교 원정도박 첩보 2건 확인…보존기간 지나 불확실” 경찰, 특검 경찰청 압수수색
통일교 해외 원정도박 의혹과 경찰의 수사 첩보 유출 논란을 둘러싸고 정치권과 수사기관이 정면충돌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1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통일교 관련 첩보 및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의 연루설에 대해 사실관계를 밝혀 정치적 파장이 일고 있다.
이날 박 본부장은 ‘통일교 총재의 원정도박 의혹 수사 무마에 의원이 관여했다는 주장’과 관련해 "해당 사건과 관련성이 있어 보이는 첩보 2건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두 건 모두 2022년 5월 30일 제출돼 보존기관 2년이 경과해 현재는 내용 확인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통일교측이 해외 카지노에서 600억원 상당의 도박을 벌였다는 정보가 2022년 춘천경찰서 등에 접수됐으나, 이후 수사 기록의 행방과 첩보 유출 의혹을 둘러싸고 경찰과 특검 간 긴장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김건희특검팀은 지난 7월 경찰청과 춘천경찰서 경비안보과를 압수수색해 관련 수사 기록을 확보했다. 특검은 통일교 핵심 인사에 대한 수사와 더불어, 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와 권성동 의원이 경찰 수사에 개입해 무마시켰다는 의혹까지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은 의혹 관련 수사관 입건 여부에 대해 “특검에서 2~3차례 압수수색을 실시해 조사 중이고, 자체 감찰은 수사 종료 후에 판단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정치권에서는 여야가 첩보유출 및 수사 무마 의혹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야권에서는 "권력형 비리의 온상"이라고 비판하며 특검의 엄정한 수사를 촉구했다. 반면 여권에서는 "특검수사에 신뢰를 보여야 한다"는 신중론을 펼치는 분위기다. 수사 대상이 된 권성동 의원 본인은 연루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박 본부장은 최근 일본 변호사 사칭 테러 협박이 다시 급증했다고 밝혔다. 2023년 8월부터 51건의 협박(이메일 19건, 팩스 32건)이 발생했으며, 대부분 국내는 검거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인터폴 및 일본 경찰과 국제 공조를 통해 추가 협박범 추적에 나선 상태다.
또한 류희림 전 방송통신심의위원장의 ‘민원 사주’ 사건은 지난달 25일 서울경찰청 수사심의위원회에 신청됐다. 서울청은 사건 조사를 거쳐 보고서를 작성하고, 수사심의위에 안건을 회부할 예정이다. 외부위원들이 해당 안건을 심의해 향후 검찰 송치 여부 결론에 관심이 쏠린다.
정치권은 통일교 첩보 및 첩보 유출 의혹, 류희림 ‘민원 사주’ 논란 등 거듭된 권력 개입·비위 의혹으로 여론의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검은 경찰의 강제수사 결과와 확보 첩보, 경찰관 입건 여부 등을 종합해 본격적인 수사 확대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