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인파, 한강 밤하늘 수놓다”…한화 서울세계불꽃축제 성공적 마무리
한화가 주최한 ‘서울세계불꽃축제 2025’가 9월 2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강공원 일대에서 진행돼 100만여 명의 인파가 몰리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축제에는 한국을 비롯해 이탈리아, 캐나다 등 3개국 대표 연화팀이 참가해 가을 밤하늘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올해로 21회를 맞은 서울세계불꽃축제는 행사 무대를 기존 원효대교 중심에서 마포대교, 한강철교 구간까지 확장하는 ‘데칼코마니’ 방식으로 연출됐다. 이에 따라 관람 지역이 크게 확대됐고, 인파 분산 효과와 안전 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은 “더 높이, 더 크게”라는 연출을 당부하며 세계적 문화자산으로의 도약을 강조했다. 한국팀은 ‘골든 아워-빛나는 시간 속으로’를 주제로 아이유의 ‘네모의 꿈’에 맞춘 사각형 불꽃,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골든’에 맞춘 왕관 모양 불꽃 등 다채로운 연출로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 직접 오지 못한 시민들을 위해 한화 유튜브 채널 ‘한화TV’를 통한 생중계가 함께 진행돼 최대 동시 접속자 24만 명, 누적 시청 218만 회를 기록했다.
한화 임직원 봉사단과 전문 안전 인력, 운영 요원 등 3,700여 명이 현장 안전에 투입됐으며, 서울시와 4개 자치구, 소방·경찰과의 협업 체계도 갖춰졌다. 대규모 인파에도 별다른 사고 없이 축제가 종료돼 한강변 대형 행사 안전 운영의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
주최 측과 당국은 축제 성장의 이면에 교통 통제, 쓰레기 처리, 소음 등 주민 불편에 대한 소통 강화와, 더욱 체계적인 안전 대책 마련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서울세계불꽃축제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공공의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해당 축제는 지역사회와 시민, 행정이 함께 만드는 축제의 새로운 모델로, “내년 더욱 내실 있는 운영이 이뤄질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