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저장소 동시 타깃 사이버·드론 테러 훈련”…대통령실, 민관 통합 대응 역량 점검
사이버·물리 공격 복합 위협을 놓고 대통령실이 민관 군 기관과 함께 종합 대응에 나섰다. 최근 빈발하는 해킹 사고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서 부상한 드론 공습 리스크가 현실이 되자, 국가 주요 기반 시설을 지키기 위한 정부의 훈련이 강화되고 있다.
19일 대통령실은 이날 을지연습과 연계해 사이버위기 대응 합동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국가안보실,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등 국가·공공기관과 군, 지방자치단체, LG유플러스, KT, KB 등 민간 기업까지 폭넓게 참여했다.

훈련은 한국가스공사 삼척 LNG 저장소에 동시에 사이버 공격과 자폭 드론 테러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국가사이버위기관리단 신속대응팀이 현장에 급파됐고, 군부대 및 경찰·소방이 합동으로 테러범 진압과 피해 조치에 나섰다.
또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제작한 해킹 메일 공격 대응, 디도스(DDoS) 공격으로 인한 분산서비스거부 사태 복구 등 최신 사이버 위협에 맞춘 실전형 시나리오가 동원됐다. 주요 기반 시설이 공격 대상으로 떠오르고, 사이버와 물리 테러가 결합된 위협에 현실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현주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3차장은 “사이버 위협은 민생경제와 국가안보의 근간을 뒤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국민과 국가의 생명을 지키는 사이버 대응 태세 확립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과 보안 업계는 이날 훈련을 두고 갈수록 고도화되는 복합 위협에 정부가 신속히 대응하는 과정으로 평가했다. 반면, 주요 기반 시설 보안의 국가 기준 강화와 민관 협력 체계 고도화 등 추가 보완책 필요성도 잇따라 제기됐다.
이날 훈련을 통해 정부는 사이버·물리 복합 위기에 공동 대응하는 민관 공조 시스템을 다시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관계부처는 향후 훈련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대응 매뉴얼 개정과 기술력 강화를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