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가속”…제주도, 농기계 보급 확대→자원화 신산업 부상
지자체가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새로운 가치를 농업 현장에 투입하며 친환경 순환경제의 구체적 실현을 향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 제주도는 2027년까지 3년간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활용 제품 보급 시범사업’을 통해 올해 16억 원의 예산을 들여 100대의 첨단 농기계와 에너지 저장장치를 농촌 지역과 에너지 취약지구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첨단 기술 컨소시엄의 참여로 사용후 배터리 기반 고소작업 농기구, 자율형 이송로봇, 공동시설형, 소형, 가로등형 등 다양한 장비가 농촌 현장에 투입될 예정이다.
제주테크노파크는 사업 컨소시엄에 전기차 폐차 등으로 회수한 사용후 배터리를 유상 매각하고, 이 배터리들은 잔존수명(SOH) 60% 이상 및 안전성 검사를 통과한 뒤 농업용 기계와 에너지저장장치로 재탄생한다. 대동로보틱스, 넥스트그리드, 포엔, 플렉싱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국내 유수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면서 기술력과 신뢰성을 더했다는 평가다. 제주도는 이 사업을 통해 농촌의 에너지 자립과 작업 효율성을 동시에 높인다는 구상이다.

한편 제주도는 사용후 배터리의 재사용이 불가한 경우에도 자원화 통합센터 구축사업을 병행하며, 배터리의 효율적 자원 순환 체계를 마련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총 130억 원 규모의 예산이 내년도 국회에 제출된 상황으로, 해당 센터가 조성될 경우 국내 친환경 배터리 산업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지자체와 컨소시엄의 협력 구조가 신재생에너지와 모빌리티 혁신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