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의별로 짧은 조사 요청”…김건희 측, 특검 수사 일정 변경 요구에 특검 “수용 불가”
김건희 여사의 소환 조사를 두고 특별검사팀과 김건희 여사 측 법률대리인 사이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김 여사 측은 건강 문제를 이유로 “하루에 한 혐의씩 자주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특검팀은 “정해진 날짜에 출석해 조사를 받아야 한다”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양 측의 이견으로 정국 긴장감이 한층 높아지는 분위기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여사 변호인은 최근 민중기 특별검사팀에 “김 여사의 건강이 좋지 않으니, 여러 차례 나눠서 혐의별로 짧게 조사받기를 원한다”고 공식 입장을 전했다. 이에 따라 김 여사 측은 특검이 정하는 일정에 맞춰 자주 출석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확인됐다. 서면조사나 비공개 소환 등 특수 절차는 요구하지 않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특검팀은 김 여사 측 요청에 대해 선을 그었다. 문홍주 특검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김 여사의 소환 통지서를 수령한 변호인으로부터 특검에 방문해 조사 방식 등을 협의하고 싶다는 입장을 전달받았다”며 “특검은 협의는 불필요하고, 통지된 일자에 따라 조사하는 것이 충분하다고 공식 답변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김 여사에게 다음 달 6일 오전 10시,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을 요구한 상태다.
윤석열 전 대통령도 이번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되면서 정치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게는 오는 29일 출석하라고 통지했다. 이로써 윤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소환 일정이 각각 확정되면서, 두 인물을 둘러싼 특검 조사가 향후 정국에서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여야 정당들은 특검 조사 진행 방식과 일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특검팀 입장을 지지하는 분위기인 반면, 국민의힘은 “절차적 정당성”과 “인권 보장”을 강조했다. 정치권 한편에서는 소환 일정 및 조사방법을 놓고 지속적인 논란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특검팀은 예정대로 내달 6일 김 여사를 출석시켜 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향후 조사 결과 및 정치권의 대응에 따라 정국은 큰 파장을 맞이할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