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시간 반 조사·조서 열람만 5시간”…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특검 2차 출석 후 귀가
정치적 충돌의 중심에 선 윤석열 전 대통령과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다시 한 번 맞붙었다. 내란 혐의 조사를 둘러싼 특검 2차 대면조사가 14시간 30분 동안 이어졌고, 윤 전 대통령은 약 5시간에 걸쳐 조서를 꼼꼼히 열람했다. 이번 조사는 국회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북한 무인기 침투 지시, 계엄 선포문 조작과 같은 중대 사안들이 정치권과 검찰 모두에 뜨거운 논쟁을 예고했다.
6일 오전 9시,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 출석한 윤석열 전 대통령은 변호인단과 함께 준비된 모든 질문에 답하며 긴 조사를 소화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은 윤 전 대통령이 2025년 1월 당시 대통령경호처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라고 직접 지시했는지 여부에 대해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다. 오랜 조사 끝에 윤 전 대통령은 오후 11시 54분께 청사를 떠났다.

특검팀은 계엄 선포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일부 국무위원만 선택적으로 소집해 나머지 인원의 계엄 심의 권한을 봉쇄했다는 의혹, 계엄 선포문 조작 및 경호처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북한 공격을 유도해 무력 충돌을 일으켰다는 외환 혐의까지 조사 범위를 넓혔다. 윤 전 대통령은 조사 전후 취재진의 날카로운 질문에도 별다른 답변 없이 정면만 응시했고, 일부 질문에는 언짢은 기색을 보였다.
정치권의 반응도 엇갈렸다. 여야는 계엄 선포 및 무인기 지시 의혹을 두고 한 치의 양보 없는 공방을 이어가는 분위기다. 내란 혐의 조사의 파장이 정치권에 더욱 확산되면서,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법 위의 권력은 없다"는 엄정 처벌 요구가 힘을 얻고 있다. 반면 일부 보수 진영에서는 "정치 보복이 아니냐"는 반론도 제기됐다.
이번 2차 조사는 1차(15시간) 조사 때보다 실제 조사 시간이 3시간 30분가량 더 길었고, 그만큼 조서 분량과 혐의 다툼도 복잡해졌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진술을 분석한 뒤 미진한 부분이 있을 경우 추가 소환조사, 추가 소환이 필요 없다면 구속영장 청구로 신변 확보에 나설 지를 곧 결론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과 특검의 정면 충돌 양상은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내란·외환 혐의의 중대성, 전직 대통령 신병 처리라는 점에서 향후 법적·정치적 후폭풍도 불가피해 보인다. 특검팀은 향후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청구 여부, 추가 소환 조사 필요성 등을 두고 입장을 정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