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동력차 시장 5개월 33.6% 성장”…BYD, 주도권 강화→정책 향배 주목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글로벌 전기동력차 시장은 한층 가속도를 더한 성장세를 보였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의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773만대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33.6% 증가하며 자동차 산업의 중장기 구조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중국과 유럽이 시장을 견인하는 가운데, 미국의 정책 변화와 중국 업체의 가격 경쟁 등 복합적 변수로 미래 시장은 예측 불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번 기간, 순수전기차(BEV)는 502만대로 34.5% 성장했고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판매는 272만대, 31.9%의 증가폭을 보였다. 전체 신차 중 전기동력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1.1%를 기록했다. 시장별로는 중국이 522만대로 압도적 성과를 내며 정부 인센티브와 현지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를 반영했다. 유럽은 환경규제 강화 영향으로 143만대, 미국은 60만대, 일본은 4만대에 그쳤다.

업체별로는 BYD가 가격 전략과 해외 진출의 성과를 극대화하며 196만대를 판매, 전년 대비 44.8% 성장으로 1위 자리를 다졌다. 지리그룹은 78만3천대로 81.8% 급증하며 2위에 올랐고, 테슬라는 경쟁 심화와 경영진 리스크 등으로 19.0%의 감소세를 보이며 63만1천대에 머물렀다. 현대차·기아는 신모델과 미국 현지 생산 확대 효과로 22만5천대를 기록, 9위에 자리했다.
KAMA는 글로벌 전기동력차 시장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내연기관차 친화 정책, 중국 브랜드의 저가 공세 등으로 불확실성이 한층 증대된다고 진단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지속 가능한 성장의 관건은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인센티브 정책 구축과 기업의 기술혁신 환경 조성에 있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세계 각국 정책과 주요 기업 전략의 향배에 이목이 집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