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결 방해 의혹 수사 3일째”…조은석 특검,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 난항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사흘째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압수수색을 시도하고 있으나,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의 강력 반발에 막혀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번 특검 수사를 ‘야당 탄압’으로 규정하며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고, 사태는 정국의 도화선으로 부상하는 양상이다.
특검팀은 9월 4일 오전부터 국민의힘 원내대표실과 원내행정국을 대상으로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 나섰다. 앞서 지난 2일과 3일에도 시도했으나, 국민의힘 의원들이 국회 복도에서 연좌 농성을 벌이고 회의실 입구를 가로막으면서 두 차례 모두 철수했다. 특히 압수수색 대상 기간이 지난해 5월부터로 포괄적인 점을 두고 국민의힘은 강하게 반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의혹을 ‘국회 본연의 기능을 훼손하는 행위’라며 수사를 지지하고 있으나, 국민의힘은 "특검이 법적 근거와 증거 제시 없이 정치적 목적의 수사를 감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앞서 “야당 탄압을 위한 무리한 압수수색”이라고 비판하며, 자료 임의 제출만을 통해 협조하겠다는 입장도 내비쳤다.
한편, 특검팀은 9월 3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자택과 사무실, 차량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 일부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실과 당 사무처 직원의 휴대전화 역시 압수수색 범위에 포함됐다. 특검팀은 "비상계엄 논의가 작년 3월께 시작된 만큼, 원내대표가 계엄을 인지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2024년 3월 당시는 평의원이었고, 총선을 앞두고 지역구를 돌보던 시기"라며 "계엄 논의 인지 가능성을 거론하려면 특검이 명확한 증거를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경 대응 의사를 내비쳤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특검팀의 압수수색 시도가 오는 5일까지 이어질 예정인 만큼, 강제 집행 대신 자료 임의 제출 등 절충안이 제시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날 국회는 특검팀의 수사 방식, 야당의 농성, 여야의 정면 충돌로 정국 불안이 이어졌으며,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파장이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