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처럼 부활해야”…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논의 본격화
제헌절의 공휴일 재지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대한민국 제헌국회의원 유족회가 이달 11일 우원식 국회의장과 오찬 간담회를 갖고 해당 법안의 조속한 처리와 제헌회관의 상시 개방을 요청할 예정이다.
제헌국회의원 유족회는 8일, 제77주년 제헌절(7월 17일)을 앞두고 11일 국회 사랑재에서 우 의장 주최로 간담회가 열린다고 밝혔다. 이번 모임은 대한민국 국호와 제헌헌법을 제정한 제헌의원들을 기리고, 그 유족들을 위로하는 취지로 마련됐다.

간담회에서 유족회 윤인구 회장은 발의된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법안의 신속한 처리와, 현재 금요일에만 제한적으로 개방되고 있는 제헌회관을 국민들에게 더욱 널리 공개할 것을 청원할 계획이다. 또한 전국 200개 선거구 제헌의원 후손들의 응원이 담긴 특별 넥타이를 우 의장에게 전달하고, 의미 있는 날에 착용해 달라고 요청할 방침이다.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된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한때 광복절·개천절·삼일절과 함께 5대 국경일이자 공식 공휴일이었다. 하지만 2008년 이명박 정부가 기업 생산성 향상을 이유로 일부 공휴일을 조정하면서 제헌절은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당시 정부는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되면서 연간 휴일 증가에 따른 기업 부담을 고려했다고 설명했지만, 노동계와 시민단체의 반발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한글날 역시 1991년 공휴일에서 제외됐다가 2013년 다시 지정된 만큼 제헌절 역시 재지정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분위기다.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은 단순한 휴일 부활 논의가 아니라 대한민국 헌법 정신을 새롭게 환기하는 계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국회와 정부가 국민적 의견과 역사적 의미를 감안해 어떻게 제도를 정비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