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구현”…SK, CES 전시관 디자인 세계적 주목
SK그룹이 선보인 AI 데이터센터 구현형 전시관이 국제 디자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SK텔레콤은 올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운영한 SK그룹 전시관이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의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레드닷 어워드는 IDEA, iF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상으로 꼽히며, 이번 수상은 첨단 IT 소재의 전시 공간 창출이 산업계 혁신 메시지로 주목받았다는 평가다.
SK그룹 전시관은 실제 데이터센터를 옮겨둔 듯한 구조로 조성된 것이 특징이다. 메인 전시 공간에는 AI 활용 데이터센터의 역량을 직접 보여주듯 LED 파사드와 6m 높이 대형 LED 기둥을 배치했다. 이와 함께 정면 입구에 설치된 2m 크기 대형 키네틱 LED 21개로 구성된 ‘혁신의 문(Innovation Gate)’은 AI 혁신의 출발점이 데이터 연결임을 역동적으로 표현했다. 출구 부분에는 66개 삼각형 키네틱 LED와 미디어 아트가 결합된 ‘지속 가능한 나무(Sustainable Tree)’를 통해 SK의 친환경 미래 비전을 관람객에게 창의적으로 전달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전통적인 IT·통신기업의 기술력뿐 아니라, 관객이 직접 참여하고 경험할 수 있는 몰입형 공간 디자인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SK그룹 측은 이번 공간을 기획하며, AI와 데이터센터 인프라의 실재적 느낌을 극대화하는 한편, 관람객이 데이터의 흐름과 혁신 과정을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CES 전시관은 앞서 2년 연속 미국소비자기술협회의 ‘놓치지 말아야 할 CES’에 선정되고, 미국 내 최대 전시·행사 전문매체 이그지비터가 뽑은 ‘CES 최우수 전시기업’에도 4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SK 전시 전략은 디자인과 기술 역량, 브랜드 경험을 결합한 글로벌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전시관 경험을 통한 기술 홍보와 브랜드 메시지 전달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SK는 키네틱 LED 등 인터랙티브 기술을 전시장에 도입해 차별화된 관람 경험을 제공했다. 글로벌 테크 기업의 전시 트렌드도 AI, ESG, 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영역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결합에 집중되는 양상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CES 등 세계 무대에서 SK의 AI 데이터센터 기술력과 브랜드 비전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전시 전략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업계는 이번 디자인 수상이 실제 IT 전시 산업의 공간 혁신 흐름을 이끌 계기가 될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