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배용, 국회 나와 진실 밝혀야”…더불어민주당, 금거북이 매관매직 의혹 압박
매관매직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 갈등이 본격화됐다. 더불어민주당이 8월 31일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을 향해 ‘금거북이 매관매직’ 의혹의 구체적 해명을 요구하며 국회 출석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 위원장의 연가로 인한 잠행 논란이 불거지면서 국회와 교육위원회, 여야 정치권이 다시 긴장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민주당 교육위원회는 이날 논평을 내고 “이배용 위원장은 장관급 기관장으로서 잠적이 아니라 해명과 수습이라는 책임 있는 행동을 해야 한다”며 국회 출석을 요구했다. 교육위는 “이 위원장이 윤석열 대통령, 김건희 여사 부부에게 당선 축하 금거북이를 건넨 뒤 국가교육위원장 자리를 ‘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며, 연가 상태로 대응을 자제하는 것이 오히려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회의에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연가를 사유로 출석하지 않자, 민주당은 “기관장의 국회 회의 불출석은 공무 등 제한적 경우에만 허용되며, ‘개인 사정’으로는 절대 인정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이 제출한 불출석 사유서는 예산결산위원장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교육위원회는 “연가 상태라 해도 국회 출석 의무는 면제되지 않는다”며, “이배용 위원장은 9월 1일 예정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반드시 출석해야 한다. 불출석할 경우 증거인멸 의혹은 더욱 증폭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야당은 이 위원장의 연가가 국회 감시와 책임 회피라는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여권 일각에서는 이번 의혹에 대해 “사실관계가 불확실하다”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정치권 전체가 해당 의혹을 둘러싼 대립 구도로 빠르게 재편되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장관급 기관장에 대한 금품 매관매직 가능성에 대한 사실관계를 명쾌히 밝혀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도 힘을 얻고 있다.
한편,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면서 오는 9월 1일 국회 예결위 전체회의가 이번 사안의 주요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국회는 증인 채택과 이 위원장 출석 요구 등 절차를 이어갈 예정이며, 교육위 역시 이배용 위원장의 명확한 해명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