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계탕·냉면 등 배달음식 위생검사”…식약처, 3700곳 점검 강화
여름철을 맞아 삼계탕, 냉면 등 배달음식에 대한 위생 관리가 강화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17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전국 배달음식점 및 프랜차이즈 3700여곳을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다. 식중독 위험이 커지는 계절적 환경에서, 소비 증가가 두드러진 삼계탕, 염소탕, 냉면, 맥주 그리고 달걀을 쓴 김밥, 토스트 등 다소비 조리식품의 안전관리가 식품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점검 대상은 삼계탕, 염소탕, 냉면을 전문으로 하는 배달 음식점, 맥주 프랜차이즈, 달걀 기반 음식점 중 과거 점검 이력이 없거나 위반 이력이 있는 업소다. 업계에서는 배달음식 시장의 성장과 함께 식품위생 사각지대 해소 필요성이 커지면서, 이번 조치가 산업적 신뢰 형성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세부적으로 건강진단 수행, 조리장 위생 상태, 소비기한 경과제품 보관, 시설 기준 준수(방충망, 폐기물 덮개 설치 등)까지 종합적인 점검이 실시된다. 달걀 사용 업소는 껍질 파손, 식중독균 오염 여부, 조리도구 구분 사용이 주요 확인사항이다. 특히, 살모넬라 등 세균에 의한 대규모 식중독 예방을 위해 삼계탕, 냉면, 김밥, 토스트 등 160여 조리식품이 무작위로 수거돼 미생물 검사에 활용된다. 기존 배달음식의 식품안전관리가 선택적으로 이뤄졌던 점과 비교하면, 전 업종 대상으로 사전 예방 중심의 관리 범위가 넓어졌다는 점이 특징이다.
국내외적으로도 배달·프랜차이즈 중심 외식 산업의 성장 속도와 함께, 관련 규제·감독이 병행되는 추세다. 미국 및 유럽에서는 식품안전 모니터링을 IT 관리 시스템에 연동하는 등 디지털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식약처는 위반업체에는 행정처분 등 엄정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며, 올해도 소비 트렌드와 식중독 발생 변동에 맞춰 점검 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대량 소비 식품 위생 강화 조치는 외식 및 배달시장의 신뢰 회복에 중요하다면서, 향후 AI·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접목을 통한 상시 모니터링 체계도 산업계 도입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이번 점검이 안전한 먹거리 환경 구축의 계기가 될지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