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폰 미끼문자 급증”…방통위, 악성스팸 차단 총력전
스팸 문자와 악성 링크가 IT와 금융 보안 패러다임의 새로운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 6월 중 예정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을 앞두고, 해당 제도를 사칭한 미끼문자가 급증하면서 실제 사용자 피해가 우려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소비쿠폰 명목으로 불법도박 사이트 등으로 유도하는 악성 스팸 피해에 대한 주의보를 4일 공식 발령했다. 업계는 이번 경고를 ‘스미싱·피싱 보안 경쟁의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가 포함된 문자나 전화는 즉시 차단해야 하며, 특히 정부기관을 사칭하는 가짜 사이트 접속 시 개인정보·금융정보 유출, 휴대폰 원격제어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해당 스팸 유형은 문자 내 URL 클릭을 유도해 악성 앱 설치 및 자동 송금 등 최근 고도화된 스미싱 수법이 동원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대응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카카오 등 주요 IT·통신사업자가 참여해 이용자 주의 문자를 순차 발송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삼성전자 등 국내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에도 스팸 필터링, 즉 지능형 악성 문자 차단 기능 강화를 공식 요청했다.
이용자 실질적 보호를 위해 피해의심 문자는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을 활용해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앱을 통한 손쉬운 인터넷진흥원 불법스팸 신고도 안내되고 있다. 각 통신사는 신고 결과에 따라 차단 조치를 즉시 시행하며, 수집된 데이터는 경찰청, 금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공유된다. 이를 통해 스팸·스미싱에서 파생되는 금융사기 및 개인정보 유출 사례 확산 억제에 긴급 대응하는 구조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AI 기반 악성코드 식별·차단 기술이 활발하게 도입되는 가운데, 국내도 이용자 신고, 실시간 필터링 기능의 고도화 등을 통해 IT 보안 체계 전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생태계의 확장과 함께 개인정보·금융 데이터 보호 기준이 산업 전반의 새로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스팸 대응책이 효과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술과 보안, 이용자 교육이 조화를 이루는 IT 서비스 환경이 근본적인 디지털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