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방송시스템 접속 장애 복구”…방통위, 방송사 실시간 감지→신속 송출 강화
국가 재난방송의 핵심 인프라인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접속 장애 이후 복구돼, 전국 50개 재난방송 의무방송사를 통해 긴급 방송 송출이 정상화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9일, 지난 26일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가 전날 밤 11시 50분경 전면 복구됐으며, 현재 모든 행정안전부·기상청 등 재난관리 주관기관의 요청 재난정보가 실시간으로 배포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장애 사태로 일시적으로 국가 재난정보 유통에 공백 위험이 제기됐으나, 방통위가 정부과천청사 내 자체 구축한 재난방송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해 50개 방송사 재난 방송 송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 정보 누락 가능성을 신속하게 해소했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은 행정안전부, 기상청 등에서 작성한 각종 재난 정보를 받아 전국 144개 의무송출방송사로 전달·방송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데이터 이원화와 모니터링 체계 강화가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으로 꼽힌다. 장애 복구 이후에도 실시간 점검, 안전성 보완 등 추가적 방지 대책이 병행되고 있다.
복구 이후 이날 오후 5시 기준, 시스템을 통해 국정자원 화재 관련 민원 상담 안내 등 총 5건의 재난통보문이 국민에게 방송됐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는 대국민 재난 안내의 지연·누락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재난 상황 때마다 필요한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송출하는 방식의 선제적 변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글로벌 재난방송 시스템도 실시간 모니터링, 백업 시스템 등 다중 안전망 확보에 치중하는 흐름이 뚜렷하다. 미국·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유사 사고 발생 시 방송 현장 전파 지연 최소화, 모의 상황 대응 매뉴얼 표준화, 백업 플랜 강화 등 안전 전략이 점차 고도화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번 사고 이후 방통위는 디지털 재난방송 플랫폼의 기술적 보호 조치와 별개로, 화재 등 돌발 상황을 악용한 불법 스팸 또는 스미싱 공격에도 대비하고 있다. 이동통신사업자들과 협력해 7월 1일부터 국민을 대상으로 정부시스템 장애를 빙자한 스미싱 경보 문자 발송 계획을 마련했다. 방통위는 불법 스팸 의심 전화나 문자가 발생할 경우, 신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으로 접수를 당부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재난방송 디지털 시스템의 안정적 운용 체계와 관련 위협 감지, 신속한 복구 체계가 향후 산업 전반의 ‘정보 보안’ 패러다임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대규모 장애 발생 시에도 국가 재난정보 흐름이 멈추지 않는 강인한 인프라 구축이 관건이라며, 제도·기술·윤리의 조율 역시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