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18개월 만에 최대 인도”…보잉, 북미·중국 물량 정상화 신호
국제

“18개월 만에 최대 인도”…보잉, 북미·중국 물량 정상화 신호

김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9일, 미국(USA)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Boeing)이 올해 6월 한 달간 항공기 60대를 인도하며 약 18개월 만에 월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연이어 발생한 항공기 사고로 생산 차질을 겪은 보잉이 북미 및 중국 시장에서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글로벌 항공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보잉은 올해 2분기에 총 150대를 인도하면서 2018년 이후 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6월 인도분 중 42대가 737 맥스로, 주로 사우스웨스트항공, 알래스카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등 미국 내 대형 항공사에 집중됐다. 737 맥스는 지난 2018~2019년 연쇄 추락사고 이후 수년간 생산·납품 중단 및 규제 강화의 중심에 있었던 기종이다.

‘보잉’ 6월 항공기 인도 60대…18개월 만에 최대 실적
‘보잉’ 6월 항공기 인도 60대…18개월 만에 최대 실적

이후 2024년 1월 알래스카항공에서 발생한 기체 일부 이탈 사고로 생산 지연이 심화되기도 했으나, 최근 한 달간 인도 실적 호조로 정상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미중(USA-China) 무역갈등이 지난달 일시적으로 휴전되면서, 보잉은 중국 항공사에 8대를 인도했다. 이는 4월 관세 분쟁 이후 신규 인수 중단 조치가 일부 해제된 데 따른 결과다.

 

보잉은 이 밖에 6월 한 달간 총 116대의 신규 주문을 받았으며, 6월 말 기준 수주 잔량이 5,953대에 이른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9월 대규모 노동자 파업으로 공장 가동이 두 달 이상 중단된 데 이어, 8월 엔지니어 출신 최고경영자(CEO) 선임 등 위기 대응 강화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보잉의 생산 정상화 및 대형 주문 확대가 단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한다.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최근 실적은 보잉 위기 극복의 전환점”이라며 국제 항공산업 내 입지 강화 가능성을 진단했다. 다만 생산 안전성 강화와 미중 무역, 글로벌 공급망 변수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관건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737 맥스의 안전 문제와 미중 갈등의 재점화 여부가 보잉의 수익성 및 글로벌 항공기 시장 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보잉#737맥스#미중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