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죽어서라도 내 땅에 묻히고 싶다”…비전향장기수 안학섭, 판문점 통한 북송 추진
정치

“죽어서라도 내 땅에 묻히고 싶다”…비전향장기수 안학섭, 판문점 통한 북송 추진

이준서 기자
입력

비전향장기수 안학섭의 북송 추진을 둘러싸고 시민단체와 정부가 긴장감 속에 접점을 모색하고 있다.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은 13일 서울 종로구 종각역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일 판문점을 통해 북한 송환을 추진하겠다고 공식 밝혔다. 이들은 정부에 판문점 이동 및 송환 절차 지원을 촉구하며 이번 사안의 인도적 성격을 강조했다.

 

송환추진단은 "20일 오전 10시 임진각에서 출발해 판문점으로 안씨를 송환하겠다"며, 통일부에 대북 통보와 민통선 통과, 유엔군사령부와의 협의 등 절차 협조를 요청했다. 추진단은 지난 11일 이런 내용의 통지문을 통일부 장관에게 보냈지만, 현재까지 정부의 공식 답변은 받지 못했다.

안학섭은 “죽기 전에 (북한에) 가고 싶은 생각”이라며 “죽어서라도 독립된 내 땅에 묻히고 싶다”고 직접 밝히며, 남은 생의 마지막 소망임을 호소했다. 한준혜 송환추진단 집행위원장 또한 “절대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며, “정부 관계자가 이를 단순 퍼포먼스로 가볍게 생각하지 않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송환추진단은 안씨가 전쟁포로이자 비전향장기수 신분임을 들며, 포로교환 협정과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 국제인도법에 따라 송환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군 당국의 민간인통제선 통과 허가, 유엔사 판문점 승인 등 절차적 난관도 지적했다.

 

정부는 안씨의 송환 요청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통일부 고위 관계자는 8일 안씨와 추진단 공동단장을 만났으나, “인도주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면서도 “정부가 송환을 추진할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와 시민단체 측은 민관이 협력해 돌파구를 마련하자는데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안학섭은 1953년 체포돼 국방경비법(이적죄)로 42년을 복역한 뒤 1995년 출소했다. 2000년 6·15 정상회담을 계기로 김대중 정부가 비전향장기수 63명을 송환했으나 안씨는 “미군이 나갈 때까지 투쟁하겠다”며 남았다. 이후 25년간 추가 송환은 없었으며, 생존자는 5~6명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날 국회와 시민사회는 송환 추진을 계기로 비전향장기수 문제와 인권, 남북관계의 새로운 논의를 예고하고 있다. 정부는 안씨의 송환여부를 계속 검토할 예정이며, 향후 판문점 통한 실행 여부에 따라 남북 관계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안학섭#송환추진단#통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