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우크라 휴전 논의 진전 없어”…트럼프-푸틴 1시간 통화, 미·러 갈등 장기화 전망
국제

“우크라 휴전 논의 진전 없어”…트럼프-푸틴 1시간 통화, 미·러 갈등 장기화 전망

조수빈 기자
입력

현지시각 7월 3일, 미국(USA)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Russia) 푸틴 대통령과 약 1시간 동안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관련 전화 회담을 가졌으나 뚜렷한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미국이 최근 우크라이나(Україна)에 대한 무기 지원을 일부 중단한 직후 이뤄진 논의였기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됐다. 이번 회담은 미·러 양국 정상 간 현격한 입장차가 여전함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 전화로 상당히 오랜 시간 이야기를 나눴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에 있어선 아무 성과도 이루지 못했다. 매우 불만족스럽다”며 실망을 드러냈다. 그는 미국 국방부의 지원 축소 결정에 대해 “우리는 이미 너무 많은 무기를 줬다. 미국 자체의 안보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대대적 무기 지원에 대해서도 “지나쳤다”며 자국 우선주의 입장을 시사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AP=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AP=연합뉴스]

반면, 푸틴 대통령은 크렘린궁을 통해 “우크라이나와의 협상에는 열려 있으나 나토(NATO) 가입 추진 등 전쟁의 근본 원인부터 제거돼야 한다”고 밝혀 기존 러시아의 원칙론을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미·러 정상 간 입장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진다.

 

당일 회담 이후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의 지원이 없다면 유럽의 방위력은 한계가 뚜렷하다”고 평가하며 EU의 단결과 실질 지원을 촉구했다. 덴마크,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도 우크라이나의 기민한 지원과 방위 체계 공백 해소에 동참할 뜻을 내비쳤으나, 핵심적인 해법 도출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번 통화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후 여섯번째 미·러 정상회담으로, 공개된 대화 주요 내용은 휴전 방안과 각국 책임 문제, 그리고 국익 충돌에 집중됐다. 특히 러시아가 “근본 원인 제거”라는 입장을 되풀이하면서 군사 충돌의 조기 중단 가능성은 더욱 멀어진 양상이다.

 

미국과 유럽 각국은 향후 추가 무기 지원과 경제 제재, 외교적 압박 등 다양한 옵션을 두고 추가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외교 소식통은 “미·러 양측 모두 가치 및 국익을 쉽사리 조정할 유인이 없다”고 진단했다.

 

이번 미·러 정상 통화에 대해 외신들도 비관적 전망을 내놨다. 뉴욕타임스는 “전쟁을 끝내기에 너무 깊어진 미·러의 간극”이라 평가했으며, BBC는 “트럼프, 푸틴 모두 자국 우선의 메시지만 남겼다”고 전했다. CNN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둘러싼 서방 결속력이 시험대에 올랐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미·러 결정권자의 직접 대화가 주목받았으나 핵심 조건과 원칙 차로 향후 실무 협상 역시 난항이 예상된다고 진단한다. 당분간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신경전과 유럽의 방위전선 확보 노력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이번 발표 이후 실제 휴전 논의가 어떤 실질적 진전을 보일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럼프#푸틴#우크라이나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