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성장호르몬 주사, 키 크는 주사 아니다”…식약처, 과대광고 집중 점검
IT/바이오

“성장호르몬 주사, 키 크는 주사 아니다”…식약처, 과대광고 집중 점검

강예은 기자
입력

성장호르몬 제제의 안전한 사용과 허위·과대광고 근절이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재차 중요한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일부 성장호르몬 제제가 ‘키 크는 주사’로 잘못 인식돼 오용되는 사례가 잇따르자, 올바른 사용 방법 안내와 함께 병·의원, 약국 등 의료 현장에서의 과대광고 집중 점검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성장호르몬 제제는 엄격한 적응증에 근거해 처방이 이뤄지나, 희망 수요 확산에 따라 ‘신체 성장 촉진’이라는 오해로까지 정보가 왜곡돼 시장 혼탁 우려를 낳고 있다.  

실제 성장호르몬 제제는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분비장애, 터너증후군, 특발성 저신장증 등 명확히 진단된 질환 치료에 사용되며, 정상인 등 무분별한 투여 시 거인증이나 말단비대증 등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식약처는 “전문가 진단과 허가 범위 내 처방만이 허용된다”며 주사 부위 통증과 출혈, 멍 등 비교적 빈번한 이상반응 역시 상세 즉시 안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식약처는 안전 사용 홍보자료를 카드뉴스, 동영상, 리플릿 등 다각도로 환자·소비자단체와 협업 제작·배포했고, 전국 단위 병·의원과 보건소를 거점으로 맞춤형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이번 점검에서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연계한 이상사례 모니터링도 병행된다.  

현행 바이오의약품 관리체계는 허가사항 내 처방·투여와 관련한 규제를 엄격히 적용한다. 현지 병·의원·약국에 대한 식약처와 지방자치단체의 합동 점검을 통해 허위·과대광고가 확인될 경우 행정처분 등이 이루어질 방침이다.  

국내외적으로 성장호르몬 제제의 고위험 사용에 따른 모니터링이 강화되는 추세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 규제기관도 신체 성장과 관련한 약물 오남용, 광고 모니터링을 강화 중이며, 국내 바이오 업계에서도 교육자료 확충과 실사용자 관리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술 혁신 속도에 앞서, 허가된 정보에 근거한 의약품 가치 전달이 선행돼야 시장 안정이 보장된다”며 허위·과대광고로 인한 환자 오남용 방지를 강조하고 있다.  

식약처는 “국민 의약품 안전 확보를 위해 성장호르몬 제제의 안전 사용 정보를 주기적으로 안내하고, 부작용 발생 시 피해구제 제도 활용을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이오의약품 산업 내부에서도 “적극적인 정보 고지와 광고 관리가 산업 신뢰성 제고의 관건”으로 평가된다.  

산업계는 이번 식약처의 단속과 정보 강화 노력이 실제 시장 안정과 환자 안전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식약처#성장호르몬제제#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