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치킨값 2,000원 인상”…교촌치킨, 배달앱 수수료 부담에 가격 올려

윤지안 기자
입력

서울 지역 교촌치킨 매장이 지난 19일부터 배달앱을 통한 콤보 대표 메뉴의 가격을 한꺼번에 2,000원 인상하며 치킨 소비자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주요 원인은 배달앱 수수료 증가와 업계 전반의 배달 전용 가격제 확산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 서울 지역 가맹점주 상당수는 배달의민족, 쿠팡이츠 등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허니콤보, 레드콤보, 간장콤보, 반반콤보 메뉴의 가격을 각각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올렸다. 교촌치킨 가맹점주 협의회는 "서울 지역 가맹점의 90% 이상이 이번 인상에 동참했다"고 밝혔으며, 본사와의 협의를 거쳐 결정된 사안이라고 전했다. 다만 매장을 직접 방문하거나 교촌치킨 전용 앱으로 주문할 경우에는 가격 인상분이 적용되지 않는다.

출처=교촌치킨
출처=교촌치킨

배달앱 이용 소비자들은 가격 인상 소식을 접하고 부담이 커졌다고 토로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치킨 브랜드들이 잇따라 배달 수수료 부담을 반영한 가격 정책을 내놓으면서, 외식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도 동반 상승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치킨 프랜차이즈의 배달앱 가격 인상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배달앱 수수료 구조상 가맹점의 수익성 방어 차원에서 가격 인상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며 “배달시장 경쟁이 여전한 상황이어서 이중가격 체계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도적으로는 가맹사업법상 본사가 가맹점에 가격 통제를 할 수 없으나, 그간 표준화됐던 가격 정책이 최근 들어 점주 자율화 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bhc치킨 또한 지난 6월부터 배달 메뉴 가격 자율화를 적용했으며, 자담치킨은 업계 최초 공식 이중가격제를 지난 4월 도입했다. 이러한 업계 흐름은 배달앱 가격과 매장, 자사 앱 가격이 달라지는 방식으로 확산 중이다.

 

과거와 비교해보면, 본사 정가에 기반했던 치킨 가격이 이제는 플랫폼별, 주문 경로별로 차별화되는 시대가 본격화되고 있다. 교촌치킨도 이보다 앞서 11일부터 일부 순살 메뉴의 원재료를 닭가슴살 혼합·중량 축소 방식으로 실질적인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향후 치킨업계의 가격 정책은 배달 플랫폼 수수료 구조, 소비자 선택, 정부의 물가 관리 기조 등 변수에 따라 추가 변화가 이어질 전망이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교촌치킨#배달앱#치킨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