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설계하는 외교안보 정책”…외교부·통일부·국방부, 2030정책토론회 공동 개최
외교안보 정책 방향을 둘러싼 세대 간 논의가 활기를 띄고 있다. 9월 2일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가 ‘외교안보부처 2030 청년 정책 토론회’를 공동 개최하면서, 부처 주도의 정책 결정 구조에 청년세대가 적극 참여하는 새로운 장이 열렸다. 외교안보 각 부처의 2030 자문단과 청년인턴들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 모여 경험을 공유했으며, 협력의 구체적 방안을 함께 모색했다.
참석자들은 ‘부처 간 협력이 필요한 외교·안보·통일 현안’을 주제로 자유로운 토론을 이어갔다. 정책 발표 및 질의응답 시간에는 외교부 청년 플랫폼 혁신화, 군사시설 무단 촬영 방지, 평화·통일 분야 인턴십 제도화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특히 청년 전문인력의 장기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필요성에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태우 외교부 국제사이버협력대사는 “급변하는 국제질서와 안보 환경에서 청년 세대의 지혜와 참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오늘 토론이 대한민국 미래 전략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세 부처는 “청년들의 창의적 의견을 정책 검토 과정에 면밀히 반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권과 정부 역시 청년 목소리의 확장을 주목하고 있다. 세 부처는 앞으로도 청년들의 다양한 의견이 국가 정책 결정 과정에 꾸준히 투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통로를 확대할 방침이다. 각 부처는 해당 토론회에서 제시된 정책 아이디어의 실질적 반영을 위해 후속 검토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정치권 관계자는 “청년정책 참여 구조의 확대와 현장 기반 아이디어의 실질화는 이후 국정과제 선정 및 부처 예산 편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부는 청년 참여 창구를 정례화해 외교·안보·통일 분야 정책 추진의 혁신성과 포용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