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가 부정맥 실시간 진단”…씨어스테크놀로지, 50만건 돌파하며 시장 선도
IT/바이오

“AI가 부정맥 실시간 진단”…씨어스테크놀로지, 50만건 돌파하며 시장 선도

강예은 기자
입력

AI 기반 패치형 웨어러블 심전도 분석 플랫폼이 부정맥 진단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씨어스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모비케어’는 고성능 인공지능으로 환자의 일상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 올해 누적 진단 건수 50만 건을 돌파했다. 연말 건강검진 성수기 진입과 함께, 산업계는 웨어러블 의료기기 중심의 진단 혁신이 하반기에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씨어스테크놀로지는 4일,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 심전도 빅데이터로 AI 알고리즘을 고도화해 정밀하고 신뢰성 높은 부정맥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국내 의료 AI 기업 최초로 반기 흑자 전환을 이룬 씨어스의 하반기 실적도 모비케어와 입원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씽크’에 힘입어 긍정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병의원 외래 환자뿐 아니라 연말 건강검진기관에서 모비케어 서비스가 추가 적용되며 현장 도입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모비케어는 1회용 패치형 웨어러블 심전계를 환자가 직접 착용해, 활동 중 장시간 심전도를 잴 수 있는 점이 기존 24시간 제한성 홀터 모니터링 대비 큰 장점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인공지능이 자동 분석, 부정맥 발생 시점과 패턴을 실시간 추출한다. 필요 시 부정맥 전문의 감수 리포트 제공으로, 심장학 전문 인력이 부족한 1차 의료기관도 맞춤 처방이 가능하다. 병원 입장에선 국민건강보험공단 수가 청구가 가능한 구독형 서비스 모델을 활용해 도입 비용 부담을 크게 줄였다. 실제 60개 이상 대형 검진센터와 연계돼 있고, 도입 기관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중이다.

 

씨어스에 따르면, 모비케어는 서울대학교병원을 포함한 5개 병원에서 3000명 대상 임상과 KMI(한국의학연구소) 건강검진센터 실증사업을 통해 임상적 정확성과 신뢰성을 증명했다. 국내 부정맥 검사 대상 인구는 1000만 명, 직장인 검진 대상자는 연간 1400만 명으로, 모비케어가 외래·검진 시장을 아우르며 조기 진단 생태계를 넓히고 있다는 평가다.

 

글로벌 의료기기업계도 워치형 등 웨어러블 심전도 모니터링 시장의 확장에 집중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구독형 수가 청구와 임상 검증까지 모두 확보한 사례는 드물다. FDA·EMEA 등 해외 규제기관 역시 AI 기반 심전도 분석 플랫폼의 실사용 데이터와 알고리즘 투명성 강화를 요구하는 추세다.

 

업계 전문가들은 “부정맥 검진은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 조기 예방에 직결되는 만큼, 웨어러블·AI 진단 플랫폼이 앞으로 의료서비스의 표준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한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씨어스테크놀로지#모비케어#부정맥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