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위 통상압박 속 여한구 긴급 방미”…8월 1일 관세 시한 앞두고 한미 담판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 위협이 본격화하면서, 대한민국 정부와 이재명 대통령이 이끄는 통상외교라인이 워싱턴에서 미국 행정부와 정면으로 맞붙었다. 관세유예 시한이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미 간 협상 주도권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해 “굉장히 엄중한 상황”이라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우리나라에 민감한 부분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국익 위주로 최선을 다해 협상하겠다”며, “지금은 전방위로 협상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8일까지였던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8월 1일로 연장한 바 있다. 그러나, 협상 기한 내 합의가 무산될 경우 한국에 25%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 국내 수출업계의 불안을 자극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지난 7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관세 서한’에서 25% 관세 방침을 공식화했다.
여한구 본부장의 이번 방미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세 번째로, 불과 13일 전 귀국한 이후 다시 급박하게 이루어진 행보다. 그는 8월 1일까지 협상 타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답하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한편, 25일에는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 양국 고위 인사가 ‘2+2 통상협의’ 자리에 마주 앉는다. 여한구 본부장은 이 협의 전에도 미국 통상 당국자들을 만나 입장 조율에 나설 계획이다. “미국 정부 당국자도 만나고 이해관계자들도 만날 것”이라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여한구 본부장뿐 아니라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윤철 부총리 등 외교와 산업 라인의 총동원 체제로 통상외교전에 나서고 있다. 특히 김정관 장관은 23일 워싱턴에 도착해 미국 상무장관과 자동차·철강 등 주요 품목 관세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도 미국 카운터파트와의 면담을 앞두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미국과의 협상 결과에 따라 국내 산업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할 것이라는 분석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수출기업들은 관세 폭탄에 직면할 수 있다는 위기감 속에 정부의 협상력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한미 통상담판이 일주일 남짓 남은 관세유예 시한 내 결실을 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는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추가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