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8개월 만의 방중”…김정은, 중국 전승절 참석에 북중러 연대 주목
현지시각 9월 2일 새벽,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태운 전용열차가 압록강 철교를 건너 북중 국경을 통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방중은 중국(중화인민공화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위한 행보로,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지난 2019년 1월 이후 약 6년 8개월 만이다. 북핵과 안보 이슈가 지속되는 가운데 이뤄진 최고지도자의 방중에 국제사회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방송은 9월 1일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전용열차로 출발했다고 전하며, 2일 새벽 국경을 넘어 중국에 진입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열차 내부 모습으로는 최선희 외무상,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김 위원장과 함께 집무 칸에 있는 장면이 포착됐다. 또 김 위원장이 열차 앞에서 최 외무상과 조용원, 김덕훈 당 비서와 대화하는 모습도 공개됐으나 조용원과 김덕훈의 동행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이번 열차 방중에는 리설주 여사, 딸 주애, 김여정 당 부부장의 참여 여부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조선중앙방송이 “‘주요 지도 간부들이 동행하고 있다’”는 표현에 그쳐, 명확한 동반자 명단을 밝히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이러한 행보는 작년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출발 후 이틀이 지나서야 공개됐던 것과 달리, 출발 직후부터 공식 보도된 점에서 이례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중국 현지에서는 김 위원장이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참석할 예정이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과 나란히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에 세계 시선이 쏠리고 있다. 북한과 중국의 최고 지도자 간 정상 외교 재개는 북중러 3각 협력 강화, 특히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 지형 변화와 직접적으로 연계된다는 점에서 각국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미국(USA) 등 서방 외신들은 김정은 위원장의 움직임이 북중러 전략 공조 심화의 신호로 평가하면서, “새로운 냉전 구도 강화”를 경고하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BBC는 “북중러 정상 간 공개 만남이 성사될 경우 한반도와 국제 안보 환경에 중대한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일본(Japan) NHK는 “동북아 무력 균형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올 들어 북중러 간 협력 행보가 한층 노골적으로 드러난 만큼, 이번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기점으로 대중·대러 외교 강화와 미중러 패권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향후 열병식 무대에서 오가는 정상 간 교감과 북중러 3국의 공동 메시지를 면밀히 주시하며,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한 외교적 파장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