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이재명, 4개 부처 장관 임명 강행 수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둘러싼 여야 대치가 심화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4개 부처 장관 후보자에 대한 보고서 재송부를 국회에 요청하며 추가 충돌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안규백 국방부, 권오을 국가보훈부,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를 두고 임명 강행 의지를 드러내며 정치권에 긴장감이 높아졌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2일 브리핑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등 4명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를 24일까지 요청했다”며 “금주 내 임명을 마무리해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겠다는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인사청문회법상 재송부 기한을 최대한 짧게 요청한 배경에 대해 “정부 출범 이후 50일 가까이 ‘동거내각’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새 정부 조기 안착 의지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국회에서 기한 내 청문보고서 채택이 무산될 경우 10일 이내 기한을 지정해 재송부를 요구할 수 있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4일 진행됐으나, 야당인 국민의힘이 ‘부적격 인사’라는 이유로 채택에 반대하면서 절차가 멈춰선 상태다. 나머지 안규백, 권오을, 정동영 후보자도 16일까지 청문회를 각각 마쳤지만, 여야의 합의 불발로 보고서 채택이 지연되고 있다.
정치권은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재송부 요청을 두고 해석이 엇갈린다. 여당 국민의힘은 “야당의견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임명을 밀어붙인다”며 강하게 반발하는 반면, 정부와 여당은 “인사 공백 해소와 국정 안정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임명 강행이 정국 혼란을 가중할 수 있다”면서도, “동거내각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통령의 선택지 역시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한다.
이번 보고서 재송부 요청에 따라 이재명 대통령이 이르면 25일 강선우 후보자 등 4명의 장관을 공식 임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야당의 반발이 계속될 경우 인사청문회 무력화 논란과 함께 여야 간 정면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은 24일까지 보고서 재송부 기한을 앞두고 각 당의 입장 차이를 좁히기 위한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국회 합의가 무산될 경우, 이 대통령은 즉각 임명에 나설 것으로 보여 정국의 긴장감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