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향 브리핑 한 달, 알권리 확장 호응”…이규연, 기자 비방 우려도 경고
정치적 소통방식의 변화가 새로운 갈등의 불씨로 작용하고 있다. 대통령실이 시행한 쌍방향 브리핑 제도를 둘러싸고 홍보소통수석인 이규연이 긍정적 평가와 함께 온라인상 비방 우려를 동시에 드러냈다. 국민 알권리 확대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22일 대통령실은 발표자와 기자를 번갈아 카메라에 비추는 '쌍방향 브리핑' 제도 시행 한 달을 맞아 "국민의 알권리를 확장했다는 호응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이날 발표한 공식 입장에서 "익명의 취재원 만연이라는 국내 언론의 고질적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한다는 평가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규연 수석은 다만, 최근 온라인상에서 질문 기자를 향한 비방과 악성 댓글, 왜곡 영상 편집 등 부작용을 일부 우려했다. 그는 "대통령실은 언론의 취재 활동과 자유를 위축시키는 행위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또한 "관련 영상을 재가공해 유포할 때 명예훼손 등으로 인한 불이익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알려드린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쌍방향 브리핑의 장점을 지속적으로 살려 나간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규연 수석은 "국민주권정부에서 새로 선보인 브리핑 제도가 뿌리를 내리도록 시민 여러분의 절제 있는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한편, 쌍방향 브리핑 제도가 알권리 신장과 취재 환경 개선이라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상 익명성에 기댄 비방이 지속되며 언론 자유 위축 논란이 제기되는 등 정치권 내 설전이 이어지는 분위기다. 대통령실은 앞으로도 브리핑 제도의 지속적 발전과 부작용 방지 방안을 병행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