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묘지 갈등 현장”…장동혁, 광주 시민 반발 속 참배 무산 논란
5·18 민주화운동 기념 공간에서 또다시 정치권과 지역사회 간 충돌이 벌어졌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1월 6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하려다 지역 시민단체와의 거센 충돌로 헌화·분향도 하지 못한 채 발길을 돌렸다. 참배 자체를 두고 시민사회와 정당 간 감정의 골이 다시 깊어진 양상이다.
이날 오후 1시 35분, 장동혁 대표는 수행원과 함께 '민주의 문'에 도착하자마자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의 격렬한 제지에 맞닥뜨렸다. 길을 막은 시민단체 회원들은 “물러가라”, “사죄부터 하라”며 구호를 외쳤고, 경찰 수십 명이 출동해 인간 띠로 충돌을 막으려 했지만 현장은 곧 밀고 밀리는 소동으로 혼란에 휩싸였다. 일부 시민들은 ‘내란옹호 장동혁’ ‘오월영령 참배할 자격 없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어 보이며 장 대표 일행에 강하게 항의했다.

혼란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서도 장동혁 대표는 천천히 추모탑까지 걸어갔고, 잠시 묵념만 한 뒤 헌화와 분향은 진행하지 못하고 현장을 떠났다. 특히 추모탑 앞 장 대표 명의 근조화환 일부가 시민에 의해 훼손되는 일도 발생했다. 당초 묘역 내 5·18 열사 묘소 참배 일정을 이어갈 계획이었으나 현장 상황이 악화되며 모든 일정은 취소됐다.
현장에서 참배를 규탄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민주의 문조차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싶었지만 끝내 참배를 막아내 영령들 앞에 부끄럽지 않을 수 있었다”며 “5·18정신을 훼손하는 정치행위를 광주 시민의 뜻으로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조국혁신당 광주시당 역시 “내란적 발상을 정당화하고 5·18을 폄훼해온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장동혁 대표에게 묘역 참배 자격 없다”며 경계했다.
반면 국민의힘 광주시당은 “장 대표는 과격한 청년들의 저지를 뚫고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단까지 가서 오월영령께 묵념을 했다”며 “참배가 무산됐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당의 입장은 참배 시도 자체에 의미를 두면서 현장 혼란의 책임 소재를 시민단체로 돌리는 데 방점을 찍었다.
양측의 날선 대립은 지역사회뿐 아니라 정치권 전체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참배 자격을 둘러싼 논란이 반복되는 가운데, 국민의힘과 지역 정치권의 소통 방식도 향후 정국에서 중요한 변수로 부상할 전망이다. 정치권은 이날 갈등을 계기로 5·18의 정신 계승과 정치적 활용 논란을 두고 정면 대치를 이어가는 분위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