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CT 한 번으로 폐암 초기 진단”…한림대, 고령층 검진 효과 입증
IT/바이오

“CT 한 번으로 폐암 초기 진단”…한림대, 고령층 검진 효과 입증

정하준 기자
입력

저선량 CT(전산화단층촬영) 검진이 70세 이상 고령자에서도 폐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실질적 효용성을 입증했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장승훈 교수와 강혜린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이춘택 교수 연구팀이 70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단 한 번의 저선량 CT 검사를 시행한 결과, 고령층에서도 폐암 진단 및 조기 치료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업계와 보건계는 이번 연구 발표를 계기로 ‘폐암 검진 연령 상한선 확대 논의’가 본격화될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재향군인 남성 1409명을 대상으로 저선량 CT를 1회 실시하고 약 3.6년 동안 추적관찰했다. 연구 대상자는 평균 연령 74.2세로, 대부분(93%)이 흡연력이 있었다. 검진 결과 피검자의 55.8%에서 폐결절이 확인됐고, 이 가운데 12.7%가 양성 폐결절로 분류됐다. 추적관찰 결과 양성 결절 환자의 2.2%가 폐암으로 진단돼, 조기 선별의 실제 치료적 이점이 강조됐다.

저선량 CT 도입의 핵심은 기존 고연령군 검진 탈락자의 조기 진단 기회를 확장하는 데 있다. CT 검진에서 폐암 진단까지는 평균 9.3개월로 집계됐으며, 폐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1·2기(초기)로 발견돼 조기 수술 등 적극적 치료가 가능했다. 현재 흡연자의 폐암 진단율(3.6%)은 비흡연자나 과거 흡연자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고령·흡연 환자층에서의 맞춤형 검진 전략 수립에 기반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연구는 기존 흉부 X선보다 민감도가 높은 저선량 CT 기술의 실전 적용 효과를 수치로 입증했다. 정량적 수치와 실제 치료 연결고리를 확인하며, 기존 국가 건강검진의 ‘연령 제한’ 기준에 대한 재검토와 정책적 전환점을 촉진한다는 평가다.

 

현재 국내 폐암 건강검진은 74세 이하로 제한되나, 미국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고령자 대상 저선량 CT 검진이 의료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내 제도에도 연령 상향조정 필요성과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폐암 검진 연령 확대는 비용—효과성, 고령군 치료 접근성과 같은 정책적 고려도 필요하다. 하지만 연구팀은 “흡연력, 만성폐쇄성폐질환, 폐기종 등 고위험군 고령자에서 저선량 CT가 생존율 개선을 이끌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보건 정책 전문가들은 “당장 검진 연령 상한을 늘리기보다, 맞춤형 선별 기준 및 치료 연계 체계를 함께 구축해야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이번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에 실리며 학계와 정책당국의 재논의를 촉진하고 있다.

 

산업계와 의료계는 이번 연구가 실제 국가 정책 전환과 고령층 폐암 사망률 감소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 발전과 검진 전략, 정책적 틀이 정교하게 맞물려야 보건 효과 극대화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정하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림대학교성심병원#저선량ct#폐암조기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