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포용과 혁신”…정부, G20서 디지털·AI 전략 정책 선도
정부가 G20 디지털경제·AI TF 장관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정책을 국제사회에 선보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 29일부터 30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본 회의에 참석해 AI 혁신과 안전, 포용을 아우르는 국내 정책과 실행 사례를 집중 공유했다. 특히 모두의 AI 구축, AI 고속도로 등 대표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디지털공공인프라 확충, 디지털 격차 해소 등 글로벌 현안에 대한 한국의 정책적 대응력을 강조했다.
G20 장관회의는 21개 회원국, 9개 초청국, 유네스코와 OECD, ITU 등 국제기구 인사들이 참여해 디지털 포용, AI 지속가능성, 중소기업 혁신생태계 등 핵심 의제를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작년 AI 서울 정상회의, 올해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 등 한국 주도의 국제 협력 이력을 공유, 글로벌 AI 가이드라인 구축 논의의 ‘혁신·포용·안전’이라는 균형점을 제시했다.

정부가 발표한 AI 정책의 주요 기반은 디지털포용법 제정,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강화, 공공·민간 협력을 통한 AI 플랫폼 고도화에 있다. 과기정통부의 설명에 따르면 모두의 AI “프로젝트”는 누구나 활용 가능한 AI 접점 확대와 지역, 소득 등 기반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목표로 한다. 이는 단순한 기술발전이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인공지능의 실질적 활용과 다층적 포용성을 담보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 한국은 AI가 가져올 변화의 기회와 위험에 대한 장기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강조했다. 북미·유럽 등 일부 G20 국가에서 규제 중심의 AI 정책을 강화하는 반면, 한국은 혁신과 안전, 포용이라는 세 요소가 균형 있게 작동하는 정부 주도형 ‘한국형 AI 거버넌스’ 체계를 강조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글로벌 디지털패권 경쟁에서, 정책의 신뢰성과 사회적 포용성이 국제협력의 핵심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각국의 AI 전략차가 산업구조와 시장 경쟁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G20 장관회의 논의 결과는 각국 협의를 거쳐 2025년 열릴 G20 정상회의 선언문에도 반영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AI와 디지털 혁신의 성장 이익이 모든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글로벌 협력과 규범 정립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논의가 실제 시장 제도화와 디지털포용정책 실행력 확보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