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온나라시스템 마비”…공공 IT망 화재, 공문 행정 대혼란

문수빈 기자
입력

공공 IT 인프라의 일시적 마비가 행정 산업의 근본 운영 방식을 흔들고 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중앙정부 647개 전산시스템이 멈추면서, 각 부처 온나라시스템 사용을 전제로 한 공문서 작성·결제·협의 등 핵심 행정流程이 대혼란에 빠졌다. 주요 부처와 일선 기관들은 모든 문서 업무를 수기로 대체하며, 일부 복구된 메일 솔루션과 팩스를 병행 활용하는 등 사실상 ‘아날로그 시대’로 업무가 회귀한 모양새다.  

이날 낮 12시 기준 핵심 시스템 62개만 복구에 성공했다. 하지만 문서 교환, 내부 결제, 메신저 등 효과적으로 행정 효율을 뒷받침하던 온나라시스템 중심 기능은 복구가 지연되며, 대부분 부처가 계약·지출 등 필수 업무에서 업무정지에 준하는 제약을 받고 있다.  

온나라시스템은 내부문서 발송·승인, 부처 간 협의 등 실무행정의 근간을 이루는 디지털 플랫폼이다. 기존에는 클릭 한 번으로 진행되던 결재류를, 부처 담당자가 직접 결재판을 들고 수작업으로 서명받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급박한 현안 협의에는 팩스와 비공식 메일 발송이 복원책으로 활용된다. 특히 이번 사고는 주요 부처 시스템과 지자체 행정망 구조가 동일한 물리적 센터에 집중된 IT 인프라의 취약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충격을 더하고 있다.  

업무중단 여파는 부처별로 차이가 있지만, 교육부 등 일부 부처의 행정정보시스템(NEIS 등)은 중요한 기능이 비교적 빠르게 복구돼 일선 교육청은 일부 서비스를 재개하고 있다. 여성가족부 등은 광주 등 타 지역 분산센터 운영 덕분에 피해를 상대적으로 덜 입었지만, 행정안전부 행정망 중심의 연계 서비스에 병목 현상이 발생 중이다.  

해외 주요 국가들은 필수 공공 IT 시스템을 다중화 구조로 설계, 대형 사고시 단일 장애 지점이 모든 업무를 멈추는 사태를 사전에 방지해왔다. 반면 국내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1개 기관에 상당수 시스템이 집중돼 있어, 전산실 화재와 같은 개별 이벤트에 소극적인 대비 체계임이 이번 사태로 재확인된 셈이다.  

정부는 긴급 대응팀을 꾸려 시스템 복구와 추가 피해 예방에 집중하고 있지만, 디지털 기반 행정 체계가 일상적으로 컴플라이언스와 보안, 데이터 백업 등 IT 가버넌스 규제에 준하는 안전장치를 얼마나 갖출 수 있는지 근본적 혁신이 요구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주무 부처로서 밤샘 비상근무를 이어가며, 메일 등 일부 핵심 시스템부터 순차 복구 중”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IT 인프라 재난이 행정산업의 디지털 전환 이후 실질적 시스템 리스크로 현실화된 신호탄”이라며 “상시 백업, 이원화된 서버 구조, 데이터 접근권한 관리 등 전면적 시스템 혁신이 공공 IT의 필수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가 실제 공공서비스 정상화 일정에 중장기 영향을 남길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의 자동화 못지않게, 운영·관리·보안 패러다임 전환이 국가 IT 산업의 핵심 화두로 부상했다”는 평가다.

 

문수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온나라시스템#국가정보자원관리원#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