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의료용 마약류 추적”…식약처, 60곳 점검 착수
마약류 관리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 기반의 점검이 본격화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의료용 마약류의 부적절한 취급이 의심되는 의료기관 약 60곳을 오는 29일까지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토대로, 의료용 마약류 구입과 사용 내역의 비정상 보고 패턴을 자동으로 선별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당국의 설명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의료용 마약류 구입 보고를 이행하지 않았거나, 구입 후 반복적으로 사용 보고를 누락한 사례가 집중적으로 점검 대상에 올랐다.
식약처와 지자체는 현장에 투입돼 의료기관별로 의료용 마약류 취급 보고 의무 준수 여부를 비롯해, 실제 사용량과 재고량의 일치, 보관 관리의 적정성 등을 전반적으로 점검한다. 의료용 마약류의 모든 유통 과정이 전산화된 빅데이터로 감시되는 구조적 기반은, 이전의 수작업 감독 방식에 비해 이상징후 포착의 정확도를 크게 높인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이 확인될 경우 관할 기관의 행정 처분 및 수사 의뢰 등 법적 절차가 신속하게 이어진다.

특히 이번 점검은 의료 현장에서의 사각지대와 불법 유통 차단, 환자 안전 확보라는 관리 목적은 물론, IT·데이터 기술 융합으로 의약품 유통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로 평가된다.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강화된 데이터 기반 모니터링에 따라 실시간 취급 보고와 재고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의료 현장의 업무 부담, 데이터 정확성, 개인정보 보호 등은 지속적으로 관리·보완해야 할 과제로 언급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의료용 마약류 관리에 AI·빅데이터를 접목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청(EMA)도 실시간 추적 시스템을 도입, 데이터 분석을 통한 부정 사전탐지와 규제 투명성 강화를 병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빅데이터 기반 감시가 제도화되면 의료용 마약류의 불법 유통과 오남용 우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다만 실제 현장에선 데이터 정합성과 시스템 운용에 관한 기술적 지원도 병행돼야 할 것”이라 진단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 기반으로 취급 이상징후를 지속 선별·점검해 의료기관의 마약류 관리와 불법 유통 차단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이 의료용 마약류 관리 시스템의 고도화와 제도적 신뢰성 확보에 얼마나 기여할지 주목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적 관리 혁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