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외면한 북한 정보유입 재개”…이영현, 대북인터넷방송 출범 선언
한미 양국 정부의 대북 방송이 줄줄이 중단되자, 민간 주도로 정보 유입의 생명줄 복원이 선언됐다. 6일, 탈북민 1호 변호사 이영현이 대표를 맡은 대북인터넷방송 Korea Internet Studio(KIS)가 정식 출범했다. KIS 측은 “국내외 정치 환경 변화로 대북 정보 전달에 공백이 생겼다”며 “북한 주민의 알 권리 회복을 위해 설립됐다”고 밝혔다.
상당수 대북방송이 최근 문을 닫는 상황에서 KIS의 역할에 이목이 쏠린다. 앞서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의소리(VOA)와 자유아시아방송(RFA)를 포함한 미 글로벌미디어국(USAGM)의 기능을 최소화하며, 주요 대북방송 기관은 사실상 해체됐다. 이재명 정부 역시 남북 긴장 완화를 명분으로 국가정보원과 군이 운용하던 라디오·TV 대북방송을 중단한 바 있다.

초대 대표 이영현 변호사는 “한미 정부가 외면한 북한 주민의 정보 생명줄을 우리가 다시 복구할 것”이라며, 북한 주민 알권리 보장의 절박함을 강조했다. KIS는 별도의 앱 개발과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X(트위터) 등 다각도의 글로벌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언어로 방송을 추진할 방침이다. 더불어 중국 콰이서우(快手), 더우인, 러시아 OK와 VK 등 현지 주요 플랫폼도 적극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덧붙였다.
주요 방송 내용으로는 탈북민 정책 및 지원정보, 영어·중국어 등 외국어 북한 이슈 브리핑, 한반도 문화예술 소개 등이 포함된다. 다만 북한 내부의 인터넷 접근 제한 탓에 당분간은 북한 재외공관 종사자, 해외 유학생과 파견 노동자가 주요 수신층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에서는 대북 정보 유입이 민간으로 넘어간 데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각에선 “국가가 감당치 못하는 공백을 메우는 민간의 역할이 커졌다”는 평가가 이어졌고, 실질적 영향력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적잖다. 관련 여론 역시 남북관계 경색과 정보 접근 차단의 틈에서 ‘북한 인권’ 이슈가 다시 부각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KIS는 오는 1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식 출범식을 개최한다. 대북 방송 중단이라는 정치적 공백 속에서 새로운 정보 통로의 등장이 향후 남북 관계 및 국내외 북한 정책 환경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