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인하 시장 불확실성 완화”…충북도, 기업들과 수출 대응 방안 논의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한 지역 수출 업계의 우려와 정부 대책 필요성이 다시 부상했다. 충청북도가 6일 도청에서 유관기관·미국 수출기업들과 함께 대책회의를 열고, 산업별 관세 변화 및 대응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현장에서는 맞춤형 컨설팅과 신시장 개척, 정부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요청이 쏟아졌다.
이날 회의는 이복원 충청북도 경제부지사가 주재했다. KOTRA 충북지원본부,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 등 7개 수출 유관기관을 비롯해 지역 내 미국 수출기업 10개사, 충북연구원 소속 전문가가 참석해 협상 타결 이후 시장 변수와 대응 전략을 점검했다.

충북연구원 윤영한 수석연구위원은 “자동차·부품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되고, 제네릭 의약품은 무관세, 반도체는 대만과 동등한 수준으로 관세가 적용되는 합의가 이뤄져 시장 불확실성이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충북 주요 수출 품목별 맞춤형 컨설팅 지원과 수출시장 다변화 노력이 절실하다”며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업들은 전문 인력 컨설팅, 미국 고율 관세 지속에 따른 바우처 지원 확대와 유럽시장 진출 지원 강화 등을 건의했다. 또 해외 전시회와 무역사절단 등 통상 사업 확대 필요성도 제기하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적 역할 증대를 촉구했다.
이복원 경제부지사는 “현장에서 제기된 건의사항을 내년도 중소·중견기업 수출 지원 정책에 충실히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수출 유관기관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수출시장의 다변화와 지역 기업 보호에 적극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충북도는 MOU 및 팩트시트(설명자료) 발표 이후 관련 내용을 면밀히 분석해 지역 기업 피해 예방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 정부와 국회 또한 협상 후속 조치와 법·제도적 지원책 마련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정치권과 지역 경제계가 모델을 구축하며, 실효성 있는 수출지원 대책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