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개발자 두자릿수 채용”…티빙, 글로벌 OTT 진출 본격화

박지수 기자
입력

티빙이 개발자 정기 공개채용을 실시하며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고 있다. 3년 만의 두자릿수 대규모 채용으로, 테크와 프로덕트 전 분야 인력 확충에 나섬으로써 서비스의 기술 경쟁력과 글로벌 대응력을 높이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업계는 공개채용 규모와 직군 확장을 ‘K-콘텐츠 기반 글로벌 OTT 경쟁’의 본격화 신호로 보고 있다.

 

티빙은 29일 프론트엔드, iOS, 안드로이드, 백엔드, QA 등 테크 직군과 프로덕트 매니저, 디자이너 등 총 11개 분야에서 두자릿수 개발자를 공개 채용한다고 밝혔다. 채용 절차는 서류, 과제 기반 평가, 실무·임원 면접 등 4단계로 구성됐으며, 이날부터 5월 26일까지 티빙 채용 사이트를 통해 모집한다. 특히 테크·프로덕트 본부는 최근 강남권으로 사무실을 옮겼고, 유연근무 및 리프레시 제도를 확대했다.

이번 공개채용은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따른 대내외 기술 수요에 대응하는 차원이다. 티빙은 매월 자기개발 지원(B.I 제도)을 비롯해 그룹 계열사 할인, 사내동호회 지원 등 산업 내 복지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높여 왔다. 국내 OTT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글로벌 OTT 선도 사업자들과의 지속 성장 구도에서 인력 확보는 핵심 기반으로 꼽힌다.

 

특히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메이저 업체들이 AI 기반 추천, 실시간 스트리밍 고도화 등 기술력을 기반으로 시장을 빠르게 넓히고 있는 만큼, 국내 OTT도 인재 확보 및 개발자 우대 정책이 더욱 중요해졌다. 일본, 동남아 등지에서는 이미 현지 개발인력과의 협업을 통한 콘텐츠·서비스 현지화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OTT 규제 환경, 데이터 보호, 현지화 전략 등 복합적 과제까지 감안할 때 이번 티빙의 채용 확대가 서비스 품질 제고와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내놓는다.

 

티빙 관계자 역시 “K-콘텐츠를 선도하는 티빙의 본격 글로벌 진출을 위한 기반 강화”로 이번 채용의 의의를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인재 확충이 국내 온라인동영상 서비스 산업의 질적 도약 계기가 될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티빙#글로벌ott#개발자채용